입에 대면 감각이 술에 취한 것과 같이 되고 졸림, 구토, 혈압저하 등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뒤이어 호흡과 심장의 마비가 발생한다 | ||||||||||||||||||||||||
| ||||||||||||||||||||||||
우리나라 각처 산지의 나무 밑이나 음습한 곳에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줄기는 편평한 공 모양이다. 주위에 작은 덩이줄기가 2∼3개 달리고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겉은 녹색이지만 때로는 자주색 반점이 있다. 잎은 5~11개의 작은 잎으로 갈라진다. 높이 15~50cm까지 자란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로 대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단성화로 암수딴그루이다. 깔때기 모양의 포는 녹색이고 윗부분이 활처럼 앞으로 구부러진다. 꽃대 상부가 곤봉 모양이나 회초리 모양으로 발달하는 것도 있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옥수수처럼 달리고 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에는 천남성 외에도 점박이천남성, 두루미천남성, 큰천남성, 무늬천남성 등의 유사종이 여럿 있다.
재배방법과 생리 천남성은 꽃이 진후 여름에 종자를 남기고 말라서 형태를 감춘다. 종자는 가을에 발아하여 생장을 시작하기 때문에 채취는 겨울에서부터 초봄에 걸쳐 하는 것이 좋다. 단, 봄에는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꽃이 피는 시기에 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그러나 꽃이 피는 시기에 파서 이식을 하면 뿌리가 약해져 좀처럼 잘 자라지 않는다. 모종에 사용하는 흙은 유기질이 풍부하게 부엽토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식한 후에는 물이 떨어지지 않게 주의한다. 또한 당분간은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관리한다. 뿌리가 내리면 채광이 좋은 곳에 두고 기른다. 비료는 싹이 나오는 가을에서 꽃이 피는 봄에 질소, 인산, 칼슘이 잘 배합된 것을 주도록 한다. 물주기 방법에 관해서는 흙 표면이 마르면 물을 듬뿍 주어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
약리작용 가을에 덩이줄기를 캐서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물에 씻어 껍질을 벗긴 다음 쪼개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폐경, 비경, 간경에 작용한다. 습을 없애고 담을 삭이며 경련을 멈추고 어혈을 없앤다. 약리실험에서 탕약이 거담작용, 진정, 진경작용, 진통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중풍으로 말을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반신불수, 전간, 소아경풍, 파상풍, 풍담으로 어지러운 데, 관절통,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하는 데, 부스럼, 연주창, 타박상으로 어혈진 데 등에 쓴다.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에도 쓴다. 천남성은 독성이 강하므로 내복약으로 쓸 때에는 반드시 법제하여 쓴다. 즉 생강즙이나 백반물과 함께 삶아 속까지 익혀서 말린다. 하루 3~6그램(법제한 것)을 탕약, 산제, 환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에는 생것을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내서 기초제에 개어 붙인다(동의학사전). 맹독성의 독이 있어 함부로 사용하면 위험하다. 반드시 약초전문가에게 조언을 듣고 사용해야 한다. 당연히 식용으로는 절대로 불가하며 삶거나 구워도 먹을 수가 없다. 보유독성분은 비크크린, 프로토핀 등이다. 풀 전체에 포함되어 있으나 그중에서 뿌리에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다. 입에 대면 감각이 술에 취한 것과 같이 되고 졸림, 구토, 혈압저하 등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뒤이어 호흡과 심장의 마비가 발생한다. 치사량은 불분명하지만 비크크린은 강력한 경련을 일으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해독 방법 1, 피부 중독에는 물이나 희석한 식초, 탄닌산으로 깨끗이 씻는다. 2, 잘못 먹어 중독되면 희석한 식초나 탄닌산이나 짙은 차, 계란 흰자위 등을 복용한다. 호흡이 곤란해지면 산소를 공급하고 필요할 때에는 기관 절개를 해야 한다. 민간 요법으로는 식초 40~80그램에 생강즙 소량을 넣고 먹거나 양치질을 한다. 또는 생강 40그램, 방풍 80그램, 감초 20그램에 깨끗한 물 4사발로 반이 될 때 까지 달여서 반으로 양치질을 하고 나머지를 복용한다. | ||||||||||||||||||||||||
유걸 기자 |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산 야생화 - 산야초 (0) | 2012.01.06 |
---|---|
산야초 - 꿀풀, 하고초 (0) | 2012.01.06 |
산야초 - 자귀나무 (0) | 2012.01.06 |
야생화 - 지리산야생화 (0) | 2012.01.06 |
산야초 - 지리산야생화 (0) | 2012.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