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 주아가 많아 종구생산, 농가소득에 유리 - |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기존 재배품종 ‘남도마늘’ 보다 수량
이 많고 구가 크며 큰 주아가 많이 생산돼 종구생산과 개량에 유
리한 난지형 마늘 ‘고아라’ 품종을 육성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마늘 생산량 중 90 % 이상은 난지
형 마늘로, 주로 남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난지형 마늘 중
‘남도마늘’은 지역 적응력이 강하고 수량이 많은 편이어서 많은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난지형 마늘은 꽃이 퇴화돼 종자가 생산되지 않아 마늘
종에서 생성되는 주아를 이용해 종구를 생산하는데, 주요 품종
인 ‘남도마늘’에서는 큰 주아의 생산비율이 낮았다.
이에 농촌진흥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에서는 큰 주아 생성
비율이 높아 종구생산에 유리한 새로운 품종 ‘고아라’를 육성하
게 됐다.
‘고아라’ 품종은 2000년에 ‘남도마늘’ 품종에서 큰 주아가 남도
마늘보다 많이 생성되고 조생종이며, 구가 큰 변이계통을 선발
해 번식과 특성검정을 거쳐 2012년에 품종보호등록을 출원했다.
‘고아라’는 ‘남도마늘’보다 마늘 구가 크고 수량이 많으며 인편
수가 8∼9개로 겉모양은 ‘남도마늘’과 비슷하다.
또한 이 품종은 제주도 기준 ‘남도마늘’ 보다 큰 주아 생산비율
이 약 9 % 높으며 이를 이용한 종구갱신 효율이 높다. 현재 마늘
재배에서 가장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종구 생산과 공급에 도움
을 줄 수 있으며 수량도 남도마늘보다 43 % 많기 때문에 농가 소
득에 도움이 매우 클 것으로 여겨진다.
뿐만 아니라 파종과 수확시기, 시비, 병해충 방제 등은 ‘남도마
늘’과 같지만 잎이 크고 추대도 5일 정도 빠르기 때문에 남도마
늘에 비해 넓게 심으며 종 제거도 남도마늘에 비해 빨리 해야 한
다.
새로운 마늘품종 ‘고아라’는 올해 품종출원이 됐으며 올해 안에
통상실시를 통해 마늘 종구생산단지를 중심으로 우선 보급할 계
획에 있다. 농가에서는 내년에 마늘 종구생산단지를 통해 구입
이 가능하게 된다.
농촌진흥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김천환 연구사는 “마늘 생
산성을 높이는 우량 종구 생산기술과 좋은 품종 육성이 필요한
데 이번에 개발한 새로운 품종 ‘고아라’는 큰 주아 생성비율이
높아 종구생산에 유리해 마늘 종구생산 단지를 중심으로 우선보
급 하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문의] 농촌진흥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소장 최인명,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김천환 064-741-2562 |
'오작교마늘고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늘밭 로타리 작업 (0) | 2012.12.13 |
---|---|
마늘밭 로타리작업 (0) | 2012.10.28 |
수확중인 마늘 (0) | 2012.06.30 |
마늘의 자람 (0) | 2012.05.24 |
마늘의 자라는 모습 (0) | 201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