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대통령

노무현 정부 ‘사스 예방 모범국’… 박근혜 정부는 ‘메르스 방역 불량국’

오작교농장 2015. 6. 5. 07:01

 

ㆍ여야 “박 정부 대응력, 참여정부 때보다 현저히 떨어져” 비판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에 대한 박근혜 정부 대응 능력이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당시 노무현 정부의 대처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비판이 여야에서 제기되고 있다.

 

컨트롤타워의 부재, 위험에 대한 안일한 인식 등이 그 근거다.

광고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4일 세계환경의 날 기념 탈핵행사에서 “참여정부 때 사스 대란이 닥쳤을 때에는

 

청와대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총리가 범정부대책기구를 진두지휘하며 사스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걸

 

빈틈없는 방역체계로 막아냈다”며 “그때 경험을 되살려 메르스도 대통령이 직접 나서 중심을 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여당인 새누리당 정병국 의원도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서 “몇 년 전만 해도 사스에 대처를 잘하는 모범적인

 

방역국이라고 했던 나라가 어떻게 이 지경까지 왔는지 답답하다”고 말했다.


실제 초기 대응부터 과거에 비해 후퇴했다.

 

2003년에는 중국에서 사스가 번지자 국내 확진 환자가 나오기도 전에 총리실 산하에 종합상황실을 설치하고

 

고건 총리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다.

 

그 결과 전 세계에서 8400여명이 사스에 감염되고 810여명이 사망했지만 한국에서는 환자가 3명만 나왔다.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사스 예방 모범국이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이번 메르스 대응에서는 확진환자 발생 후에도 대책본부를 질병관리본부장 아래에 뒀다가 보건복지부 차관

 

산하로 옮기고 지난 3일에야 보건복지부 장관 산하로 격상했다.

 

허둥지둥하는 사이에 3차 감염자까지 발생했고, 메르스 발병 16일 만에 35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격리 대상자는 1600명을 넘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