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추가로 10명 발생…전체 환자도 64명으로 늘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 환자가 7일 14명 더 확인돼 64명으로 늘어났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에서 10명의 환자가 새로 확인되고, 이 가운데 1명이 지난 5일 숨진 것으로 드러나 추가 감염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메르스 검사결과 14명이 양성으로 확인됐다"며 "이 가운데 3명은
51번(72·여) 환자의 경우 지난달 12~21일, 52번(54·여)은 지난달 23~28일, 53번(51)은 지난달 26~28일 각각 해당
16번(40) 환자가 거쳐간 대전F병원에서도 지난달 22~28일 같은 병실 환자를 간병했던 54번(63·여) 환자가 추가 감염됐다.
나머지 10명의 추가 감염자는 모두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했다.
보건당국이 사망 사실을 이틀 뒤에야 공개하면서 그동안 꾸준히 제기돼온 '정보 독점 및 은폐' 논란도 한층
삼성서울병원에서는 또 55번(36), 56번(45), 57번(57), 58번(55), 59번(44), 60번(37·여), 61번(55), 62번(32),
이로써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한 메르스 환자는 모두 17명으로 늘어났고, 사망자도 1명 발생했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에서 10명의 환자가 새로 확인되고, 이 가운데 1명이 지난 5일 숨진 것으로 드러나 추가 감염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메르스 검사결과 14명이 양성으로 확인됐다"며 "이 가운데 3명은
평택성모병원에서 감염됐다"고 밝혔다.
51번(72·여) 환자의 경우 지난달 12~21일, 52번(54·여)은 지난달 23~28일, 53번(51)은 지난달 26~28일 각각 해당
병원에 입원했던 환자들이다. 이로써 평택성모병원에선 지금까지 36명의 감염자가 발생했다.
16번(40) 환자가 거쳐간 대전F병원에서도 지난달 22~28일 같은 병실 환자를 간병했던 54번(63·여) 환자가 추가 감염됐다.
나머지 10명의 추가 감염자는 모두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했다.
특히 지난달 27~29일 응급실에 내원했던 64번(75) 환자는 지난 5일 숨진 사실이 드러나,
지난 3일 대전E병원에서 숨진 36번(82) 환자에 이어 3차 이상의 감염에 의한 사망자가 됐다.
보건당국이 사망 사실을 이틀 뒤에야 공개하면서 그동안 꾸준히 제기돼온 '정보 독점 및 은폐' 논란도 한층
거세질 전망이다.
삼성서울병원에서는 또 55번(36), 56번(45), 57번(57), 58번(55), 59번(44), 60번(37·여), 61번(55), 62번(32),
63번(58·여) 환자도 추가 감염됐다.
모두 응급실에 내원 또는 입원했다가 감염됐으며, 이 가운데 60번은 이 병원 의료진이다.
이로써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한 메르스 환자는 모두 17명으로 늘어났고, 사망자도 1명 발생했다.
이날 현재까지 발생한 국내 환자도 64명으로 늘어났고, 사망자는 5명, 격리자는 1866명이다.
보건당국은 "모두 원내감염으로, 관리범위 안에 있는 사례들"이라며, 삼성서울병원에서의 메르스
유행에 대해서는 "조사가 계속 진행되면서 앞으로도 계속 발견될 것"으로 내다봤다.
당국은 또 "주말을 넘기면서 정체되거나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해명했지만, 잇따른 오판과
부실 대응으로 방역 자체에 실패했다는 비판을 면하긴 힘들게 됐다.
메르스 환자가 대거 발생한 평택성모병원만 철저하게 관리했더라도 사망자까지 나온 삼성서울병원
감염자 17명, 대전 E와 F병원에서 감염된 8명은 생기지 않았을 환자들이기 때문이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창옥내과 원장입니다. (0) | 2015.06.08 |
---|---|
최경환 직무대행 “메르스 확진자 발생·경유 병원 이름 공개” (0) | 2015.06.07 |
사스와 메르스의 비교 (0) | 2015.06.04 |
단기간에 건강을 변화시키는 강력한 식품 7가지 (0) | 2015.06.02 |
한국 전기기술인 협회 북부회 춘계체력단련 (0) | 2015.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