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대통령

'친일인명사전 미구입' 3개교, 재단설립자 등 5명 사전에 등재

오작교농장 2016. 3. 8. 08:31

친일인명사전을 구입하지 않은 사립고교 4곳 중 3곳의 재단관계자들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학교는 이 같은 자료를 수집한 서울시의회가 교육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7일 김문수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교육위원장)이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J고·D고·

Y고의 재단 설립자나 전직 임원, 교장 등 5명은 각각 친일인명사전에 이름이 올라가있다.

이들 3개교는 친일인명사전 미구입을 이유로 S고와 함께 서울시의회로부터 교장 출석 요구를 받은 학교다.



29일 오후 서울 중구 태평로 서울시의회 앞에서 열린 '친일인명사전 4,389명 필사본 제작 범국민운동'에서 시의원들이 필사본제작에 동참하고 있다. 김문수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은 이번 범국민운동과 관련해 "역사를 공정하게 기록하고 평가하며 가슴깊이 기억해 잘못된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마련했다"고 밝혔다. /사진=뉴스1

D고의 경우 재단법인 D학원의 이사직을 역임한 이모씨(1896~?)·고모씨(1913~1991)와 함께 3대 교장인

장모씨(1899~1966) 등 3명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돼있다.

Y고는 김모(1905~1985) 설립자가, J고는 J야학교 교장을 역임한 조모씨(1887~1969)가 사전에 이름을

올렸다.

친일인명사전을 펴낸 민족문제연구소는 이들이 일본의 전쟁에 필요한 기금을 헌납하거나 징병에 앞장서는

등 대내외적으로 적극적인 친일 행각을 벌였다고 서술했다.

김문수 위원장은 "부끄러운 과거를 가진 학교가 오히려 앞장서서 사전을 구비하고 교육을 통해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는 편이 좋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사립학교 측에서는 이 같은 서울시의회의 행보가 교육을 정치화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조형래 배명고 교장(서울시사립중고등학교장회장)은 "친일인명사전을 구비하지 않는 이유가

(자율권 문제가 아닌) 학교 재단의 친일 전력과 관련있다고 해석하는 것은 매우 왜곡된 시각"이라며 "시의회는

교육을 정쟁의 도구로 만드는 일을 중단하라"고 말했다.

조 교장은 또 "일제시대 때 모든 공립학교가 조선어말살정책에 입각해 한글을 가르치지 않은 반면, 대부분

민족사학들이 비밀리에 조선어를 가르치며 교육의 명맥을 이어왔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며

"'사학=친일의 잔재'로 인식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은 지난달 친일인명사전을 배포하기 위해 관내 중·고교 583곳에 도서구입비 30만원을

배포했다.

이후 S고 등 4개교가 친일인명사전을 구입하지 않자, 서울시의회는 이들 학교 교장을 7일 의회에 출석시켜

이유를 묻겠다고 했다. 이날 의회에 출석한 교장은 전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