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청자3호

오작교 농장 콩싶은데 콩나고 팥싶은데 밭나네요

오작교농장 2016. 5. 21. 13:33

오작교 농장 오늘 흰콩을 파종 하였습니다.

콩 품종은 대원 콩으로 수확량이 많고 만기 재배 하는 품종 입니다.

대원콩은 양질 다수성이면서 장류용콩으로 가공적성이 높은 신품종 육성을 목표로 1986년

하계에 인공교배 한 후, 우량계통을 선발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1997년도 주요농작물종자협의회에서

장려품종으로 결정됨과 동시에 '대원콩'으로 명명되었다.

특성

고유특성
신육형은 유한신육형이며, 꽃색은 백색, 잎모양은 환형이다. 종피색과 배꼽색은 황색이며,

콩알 모양은 구형이고 성숙후에도 꼬투리()의 개열이 잘 안된다.

일반특성
개화기는 대비품종인 만리콩에 비해 1일 차이를 보였으나 성숙기는 2주 정도 늦은 만생종이다.

또한 키도 크고 분지수도 많은 편이며 개체당 꼬투리수는 1개가 많았으나 꼬투리당 협수는

0.2개가 적었고 100립중은 25.6g으로 대립에 속하는 품종이다.

병해충 관련특성
콩 모자이크병에 강하고 괴저병에는 중강정도의 저항성을 보였고 이병립률로 볼 때 자반병과

미이라병에는 강하였으나 노균병과 갈반병립율이 0.1% 정도 있었고 콩나방 피해립은 0.2% 정도이었다.

품질 및 가공특성
대원콩은 조단백과 두부수율에 있어서는 대비품종인 만리콩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조지방함량은

다소 낮았다.

또한 20일간 발효시킨 메주에서는 총유리당과 아미노산중 글루타민산은 만리콩에 비해 낮았으며

아스파라긴산함량은 대원콩이 만리콩에 비해 크게 높았다.

수량성

대원콩은 1992~1994년의 3년간 수원에서 실시한 생산력검정시험에서 대비품종인 만리콩(293kg/10a)

보다 25% 증수된 365kg/10a의 수량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1995~1997년 3개년간 전국 10개소에서 실시된 지역적응시험 결과 293kg/10a의 수량성을 보여

표준품종 대비 7% 증수되었다.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대원콩은 제주 및 산간 고랭지를 제외한 전국에서 적응성 있는 품종이 재배상의 유의점은 중북부지방

에서는 5월하순 이전에 파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원콩 (농식품백과사전,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