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 ‘홍산’ 품종 설명자료
1. 육성경위
○ 육성 방법 - 가임마늘 유전자원 수집 → 특성검정
- 교배조합 작성 → 성능검정 → 선발 → 특성 및 수량, 품질 검정
※ 돌연변이체 선발이 아닌 교배를 통한 품종육성
○ 계통도 - 가임마늘 8902 × 9209 의 F1 세대에서 12번째 포기 선발
○ 육성내력 - 교배년도 : 2003년
- 개체 증식 및 특성검정 : 2004∼2010 - 생산력 검정 : 2011
- 지역적응성 검정 : 2012∼2014년(수원, 단양, 남해, 제주)
2. 품종특성
○ 생리생태적 특성
- 홍산 마늘은 한지 지역과 난지 지역 모두 재배가 가능한 겸용 품종 으로 재배적응성이 넓으며
- 잎은 녹색이며, 초형은 개방형
- 수확기가 늦은 만생종 품종
- 마늘쫑은 정상 발생되는 완전추대형이며, 길이가 길고 단맛이 강함
- 생육이 왕성하여 재배하기 쉬우며, 바이러스 및 병해충에 강함
- 수확시 뿌리 끊김 현상으로 인력으로 수확작업이 쉬움
- 주요 특성
계통명 | 재배지역 | 초장 | 엽수 | 엽초경 | 인편수 | 구고 | 구경 | 추대율 | 구중 |
홍산 | 한지 | 81.6 | 7.7 | 11.6 | 6.7 | 32.3 | 45 | 98.5 | 35.3 |
단양대비 | 한지 | 78.7 | 6.5 | 11.9 | 7.8 | 37.5 | 42.3 | 93 | 32.6 |
홍산 | 난지 | 93.4 | 9.7 | 20.3 | 8.3 | 51.0 | 57.5 | 99.1 | 53.5 |
남도대비 | 난지 | 90.9 | 7.7 | 20.5 | 9.3 | 37.8 | 53.8 | 98.6 | 43.8 |
○ 마늘 구 및 품질 특성
- 마늘 통 모양은 원통형이고, 겉껍질색은 유백색
- 인편이 6쪽으로 재래종과 비슷하며, 난지형보다 적음 * 난지재배 9.3쪽(남도 8.3쪽), 한지재배 6.7쪽(재래종 7.8쪽)
- 구중 및 수량성은 한지형(재래종) 및 난지형(남도) 보다 많음 * 구 무게 : 한지재배 35.3g(재래종 32.6g), 난지재배 53.5(남도 43.8g) - 마늘 당도가 높고 풍미가 좋으며 저장성이 좋음
* 홍산 42.8°Brix 남도 39.7 대서 37.0 의성종 38.1
○ 병해충 저항성 - 초세가 강하며, 바이러스에 강함
- 녹병은 중간정도로 약하므로 방제 철저(대서 품종과 비슷)
- 초세에 강하여 녹병을 제외한 기타 병해충에는 다소 강함
○ 재배시 주의사항
- 생육기 녹병방제 약제 살포 철저
- 질소질 비료 과다 시용시 녹병 발생이 많고, 수확기가 늦어짐
- 마늘 쫑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 수량감소가 타 품종에 비해 크므로 쫑 출현 후 즉시 제거 하는 것이 좋음
- 기상환경에 변화 따라 스펀지 마늘 발생 할 수도 있음
○ 수량성
구분 | 한지재배 | 난지재배 | ||||
품종 | 수원지역 | 남해지역 | 제주지역 | |||
지역 | 홍산 | 단양종 | 홍산 | 남도 | 홍산 | 안도 |
수량 | 1285 | 965 | 2017 | 1576 | 2205 | 2084 |
○ 당도
- 당도는 42.8°Brix로 재래종 및 난지형보다 높음
구분 | 인편(°Brix) | 마늘종(°Brix) | ||||
품종 | 홍산 | 남도 | 대서 | 의성 | 홍산 | 남도 |
당도 | 42.8 | 39.7 | 37 | 38.1 | 16.0(24.3) | 15.6(19.8) |
* 20년산, ( )는 마늘쫑 끝부분
□ Chlorophyll 함량
○ 마늘 인편 끝에 녹색의 클로로필 함량이 타 품종 보다 높음
- 홍산 품종에서 클로로필 a와 b 및 총 클로로필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남
표. 홍산마늘 클로로필 분석
구분 | Chlorophyll (ug/g) | ||
Chl a | Chl b | Total Ch | |
홍산 | 1.534 | 4.754 | 6.29 |
대서 | 0.410 | 1.357 | 1.76 |
남도 | 0.92 | 2.785 | 3.71 |
□ 알린류 및 항산화능 분석
○ 알린은 6.40으로 난지형 남도 보다 높고, 재래종 단양종 보다 높음
○ 알리신은 재래종 및 난지형 품종과 비교 시 가장 높았음
○ 항산화능에서 Total phenol alc Total flavonoid에서 재래종 및 남도종보다
항산화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재배지역 | 품종명 | 기능성 성분분석(mg/g | 항산화능(mg/g | ||
Allii | Allici | Total phenol | Total Flavonoid | ||
전북완주 | 단양재래 | 6.16 | 1.31 | 94.26 | 10.98 |
의성재래 | 7.58 | 1.80 | 92.91 | 9.8 | |
남도 | 6.04 | 1.63 | 76.08 | 9.71 | |
홍산 | 6.4 | 1.89 | 117.99 | 18.62 |
그림. 홍산 마늘 클로로필 함량 및 구특성
□ 항산화능 비교
○ 홍산이 Free radical 소거능(%)은 DPPH 및 ABTS에서 높게 나타났음
구분 | DPPH 라디칼 소거능(%) | ABTS 라디칼 소거능(%) | |||||
희석배수 | 0 | 2 | 4 | 0 | 2 | 4 | |
전북완주 | 단양재래 | 43.76 | 27.00 | 17.1 | 99.2 | 91.2 | 69.0 |
의성재래 | 44.10 | 28.07 | 17.3 | 99.2 | 92.9 | 70.9 | |
남도 | 39.08 | 26.12 | 18.8 | 90.8 | 74.95 | 50.2 | |
홍산 | 50.5 | 41.7 | 29.29 | 99.4 | 95.0 | 71.4 |
□ 미량원소 함량 비교
○ 홍산 품종에서 미량원소(마그네슘, 칼슘, 아연, 망간) 함량이 타 품종보다 높게 나타남
시료명 | 분석항목 (mg/kg) | ||||
마그네슘(Mg | 칼슘(Ca) | 아연(Zn) | 망간(Mn) | ||
전북완주 | 단양재래 | 255.2±7.1 | 195.70±8.44 | 8.62±0.24 | 2.69±0.15 |
의성재래 | 245.1±3.3 | 189.77±16.42 | 8.36±0.25 | 2.24±0.11 | |
남도 | 227.1±5.3 | 97.58±0.96 | 7.63±0.21 | 2.67±0.66 | |
홍산 | 309.6±2.2 | 215.67±10.14 | 10.97±0.84 | 2.96±0.05 |
'오작교마늘고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작교농장 홍산마늘 재배를 위한 로타리작업 (0) | 2020.10.15 |
---|---|
오작교농장 홍산마늘 유박 살포 (0) | 2020.10.15 |
오작교농장 홍산마늘 판매 합니다 (0) | 2020.07.01 |
오작교농장 홍산마늘 수확 하기 (0) | 2020.06.27 |
오작교농장 고추 곁가지 제거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