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산야초

충기피식물 - 남천

오작교농장 2012. 1. 6. 12:09

 

이뇨, 기침 멈춤, 해열작용이 있으며, 천식이나 편도염 등의 행굼제, 입욕제등으로도 사용된다.

단, 남천은 약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설명하는 사용량을 꼭 지켜야 한다.

보유독성분은 난디닌과 도메스틴 등이다

 

일본, 중국이 원산지로 인도 등지에서도 볼 수가 있다.

추위에 비교적 약한 편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에서 관상용으로 많이 식재되고 있으며, 중부이북에서는 실내 온실이나 화분에 주로 심겨지고 있다.

매자나무과의 늘푸른나무이지만 추운 곳에서는 낙엽이 지기도 한다.

나무 높이는 보통 1~ 3m 정도로, 줄기가 다발을 이뤄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색으로 세로 방향으로 골이 져 있다.


매자나무과의 늘푸른나무로 6월에 꽃이 핀다
www.naturei.net 2009-07-14 [ 유걸 ]


잎은 3장의 쪽잎으로 이루어진 3회 깃꼴겹잎으로, 광택이 나고 주로 줄기 끝에 모여 난다.

쪽잎은 타원형의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다.

처음에는 진한 녹색을 띠다가 가을이 되면 붉게 단풍이 든다. 6~7월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흰색의 꽃이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루며 무리지어 핀다. 10월이 되면 둥근 열매가 붉게 익는다. 원예품종에는 열매의 빛깔이 흰색이거나 연한 자줏빛인 것 등이 있다.


 

잎은 3장의 쪽잎으로 이루어진 3회 깃꼴겹잎이다
www.naturei.net 2009-07-14 [ 유걸 ]


재배방법
흙은 특별히 가리지 않기 때문에 아주 상태가 나쁘지 않다면 어디든지 심어도 상관없으나 물이 잘 빠지는 반그늘 흙이라면 더 좋다.

번식은 주로 삽목(揷木)으로 하지만 접목도 한다. 씨에 의한 실생번식도 가능하다.

새순이 잘 나오지 않고 뿌리가 깊게 내리지 않으므로 옮겨 심을 때 조심해야 하고 가지는 되도록 많이 잘라주지 않도록 한다.

화원이나 조경농장에서 구입할 때는 가능하다면 어린 것보다는 50cm 이상의 것을 구입하는 것이 키우기가 수월하다. 관상용으로 심을 때는 서너 그루를 모아 심으면 보기가 훨씬 좋다.

이식한 후 뿌리가 내릴 때까지는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화분재배를 할 경우에는 표면의 흙이 말랐을 때 듬뿍 물을 주도록 한다.

일단 뿌리가 내리면 아주 튼튼한 식물이기 때문에 그 후의 관리는 간단하다.


남천 꽃(좌)과 열매(우)
www.naturei.net 2009-07-14 [ 유걸 ]


약성과 활용
이뇨, 기침 멈춤, 해열작용이 있으며, 천식이나 편도염 등의 행굼제, 입욕제등으로도 사용된다.

줄기와 뿌리의 껍질은 위병, 탈공, 졸음병 등에 효과가 있다.

기침약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겨울에 성숙한 열매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다음, 300ml의 물에 5~10g을 넣어 달인다.

이 달인 액을 식사 사이에 3회에 걸쳐서 복용하면 좋다.

어린이의 백일해에 사용할 경우에는 3~5g의 열매를 같은 방법으로 달인다.

그대로 마시기 힘들면 꿀을 넣어 먹기 좋게 하는 것도 방법이다. 편도염 행굼제로 이용할 경우에는 300ml의 물에 남천잎 10g을 넣어 다린다.

단, 남천은 약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설명하는 사용량을 꼭 지켜야 한다.

천연의 기침약도 잘못 사용하면 죽음을 부를 수 있기 때문이다.

보유독성분은 난디닌과 도메스틴 등으로 잎과 껍질, 열매 등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팥밥 위에 남천 잎을 올려놓으면, 잎에 함유되어 있는 난디닌이 열과 수분에 반응하여 미량의 시안화수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부패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시안화수소는 독성이 강하지만 발생하는 양이 아주 미량이기 때문에 해가 없다.

그러나 일정량 이상의 난디닌은 호흡중추를 자극시켜 나중에 마비에 이르게 한다.

도메스틴 또한 중추신경에 직접 작용하여, 경련, 지각마비, 호흡마비를 일으켜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유걸 기자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기피식물 - 살구  (0) 2012.01.06
산야초 - 옥수수  (0) 2012.01.06
산야초 - 배초향,방아잎  (0) 2012.01.06
충기피식물 - 여뀌  (0) 2012.01.06
산냐초 - 쇠무릎(우슬)  (0) 201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