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산야초

충기피식물 - 수선화

오작교농장 2012. 1. 6. 13:17

 

주요 보유독성분은 꽃무릇이나 상사화 종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리코린으로, 주로 비늘줄기에 분포되어 있다.

민간에서는 비늘줄기를 짓찧어서 곪은데, 여러 가지 부스럼과 상처에 붙인다.

거담이나 백일해 등에 약용하기도 한다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오래전에 중국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관상용으로 인가에서 재배하고 있지만 제주도나 거문도 등 따뜻한 남쪽에선 야생하는 것이 많이 있다.
속명인 나르키수스(Narcissus)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미소년 나르시스(나르키소스)에서 유래한다.

물속에 비친 자기 얼굴에 반해서 빠져 죽었는데, 그곳에서 수선화가 피었다고 전해진다.


이른 봄 꽃을 피운 수선화
www.naturei.net 2009-03-25 [ 유걸 ]


땅속 비늘줄기는 넓은 달걀 모양이다.

흰색의 수염뿌리가 달려 있으며 껍질은 검은갈색이다.

양파처럼 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늦가을에 줄 모양의 잎이 나온다.

 다 자라면 길이 20∼40cm, 나비 8∼15mm에 이른다. 끝이 둔하고 흰빛을 띤다.
12∼3월에 잎 사이에서 솟아오른 꽃줄기 끝에 5∼6개의 꽃이 옆을 향하여 달린다. 6갈래의 꽃잎은 보통 흰색이거나 옅은 노란색이고, 가운데에 금잔처럼 생긴 노란색 부화관이 있다.


 

수선화 비늘줄기
www.naturei.net 2009-03-25 [ 유걸 ]


재배방법
수선화는 열매를 맺지 못하기 때문에 비늘줄기로 번식시킨다.

수많은 품종이 개발되어 있어, 화원에 가면 얼마든지 손쉽게 다양한 품종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잎이 나오기 전인 가을에는 비늘줄기를, 봄철에는 꽃이 핀 수선화를 판매한다.
비늘줄기 이식은 10월에서 11월에 하는 것이 좋다. 늦어도 12월 중순에는 마쳐야 한다.

비늘줄기 높이의 약 2배정도의 깊이로 심는다.


 

다양한 품종이 개발된 수선화
www.naturei.net 2009-03-25 [ 유걸 ]


화분에 심을 경우에는 물빠짐이 좋은 흙을 사용하고, 야외에서 재배할 경우에는 배수가 양호한 곳에 심는다.

그렇지 않을 경우 비늘줄기가 흙속에서 썩어 버리기 때문에 봄이 되어도 싹이 나오지 않는다.
꽃이 진후에는 꽃줄기를 뿌리로부터 잘라준다.

화분재배의 경우 6월경 잎이 마르기 시작하면 비늘줄기를 파내어 잘 건조시켜 차가운 암실에 저장하거나, 그대로 심어둘 경우에는 여름철 고온에 약하기 때문에 선선한 곳에 놓아두는 것이 좋다.


잎 사이에서 꽃줄기가 올라온다
www.naturei.net 2009-03-25 [ 유걸 ]


약성과 활용
민간에서는 비늘줄기를 짓찧어서 곪은데, 여러 가지 부스럼과 상처에 붙인다.

거담이나 백일해 등에 약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독성이 강하므로 조심해야 한다.
주요 보유독성분은 꽃무릇(석산)이나 상사화 종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리코린(lycorine)으로, 주로 비늘줄기에 분포되어 있다.

치사량은 10g이라고 알려져 있다. 중독증상으로는 구토, 기분나빠짐, 복통, 설사, 탈수쇼크 등이다.

적은 양이라면 리코린은 기관지점막의 분비기능을 항진시키며 거담작용이 있다.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열내림 작용을 보이기도 한다.

때문에 리코린은 가래약으로 급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기관지확장증에 쓴다.
리코린은 수용성 성분이기 때문에 비늘줄기를 장시간에 걸쳐 물에 담가두거나 삶은 경우 그 녹말은 식용할 수도 있다.

수선화녹말로 만든 풀로 화선지를 붙이면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

친환경농업에서는 물이나 주정에 우려내거나 생즙을 짜서 천연살충제로 이용한다.

유걸 기자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야초 - 달래  (0) 2012.01.06
산야초 - 광대나물  (0) 2012.01.06
산야초 - 머위  (0) 2012.01.06
충기피식물 - 애기똥풀  (0) 2012.01.06
야생화 - 음나무  (0) 201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