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이러스가 뭘까요?
최근 몇 년간 세상을 시끄럽게 한 바이러스는 병을 일으키는 생물로서
엄청난 피해를 일으키는데 반해 크기는 생물체 중 가장 작고 단순하며 무
생물처럼 독립생활을 하지 못하는 독특한 점도 있다.
바이러스는 보통 기생하는 생물에 따라 동물바이러스, 식물바이러스, 세균
바이러스로 나뉘며 유전물질에 따라 구분되기도 하는데, 인류의 역사에 등
장한 것은 기원전 2,000년 전으로 매우 오래되었다.
처음으로 바이러스의 실체를 확인한 후에도 사람들에게 큰 공포로 남아
영화나 문학작품을 통해 부정적인 인식이 지나치게 확산되어 있기도 하다
2. 식물바이러스의 세계
식물바이러스의 증상은 보통 잎에 누렇게 변하거나 돌돌 말리거나 잎이나
줄기에 둥근 무늬가 생기거나 얼룩덜룩한 무늬가 생기는 등의 현상을 나타
낸다. 바이러스는 기생하는 식물의 종류가 정해져 있는데 이 식물을 기주식
물이라 하며 씨앗(씨감자, 씨고구마 포함)에 붙어 있거나 진딧물, 가루이 같
은 곤충이나 선충의 몸 안에 있다가 식물을 흡즙할 때 입, 상처부위를 통해
감염시킨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바이러스 피해예방을 위해 현장 진단 키트와 검역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 올리고칩(LSON)을 개발하여 무상으로 분양
하고 있으며 매개충의 움직임을 감시하여 미리 방제할 수 있는 스마트포집
시스템을 운영하여 방제 정보를 실시간으로 농업인과 관련기관에 전파하고 있다.
3. 황금알을 낳는 바이러스 시대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바이러스는 현대 생물학을 이끌고 있는 생명
공학기술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으며 미래 농업을 위한 기술개발에도
밑거름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연구결과로는 바이러스를 개조하여 인류의 선천성
대사이상, 암 등의 난치병에 효과적인 약물을 정확히 필요한 곳에만 보내는
약물전달체의 역할과 암세포만 골라 파괴하는 항암바이러스의 개발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일부는 곧 상용화 될 것으로 보인다.
4. 시사점
바이러스로 인한 피해는 지구온난화 글로벌 교역의 증가로 인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대비하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투자가 매우
시급하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작교 - 긴연휴를 보내시고 돌아온 님들에게 (0) | 2015.05.26 |
---|---|
따가와진 햇살.. 비타민D 보충 위한 산책법 (0) | 2015.05.10 |
오작교농장 삽주 무침과 한치회 아침 식사 (0) | 2015.05.06 |
오작교농장 부엌 칼을 구입하는 방법 (0) | 2015.04.29 |
민폐 질환?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예방·관리법 5 (0) | 201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