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육성내력 |
|
양질 다수성 메밀 신품종육성을 위하여 1989년에 NSL86520 모집단에서 집단선발법에 의하여 선발한 후 수원15호의 계통명을 부여해서 1992~1994년에 생산력검정을 실시한 바 조숙, 대립, 다수성, 양절형계통으로 유망시되어 1994~1996년에 수원, 춘천, 평창, 제주 등 4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우수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1995년에 실시한 농가실증시험에서도 다수성이 인정되었으므로 1997년 2월 ’양절메밀2호’로 명명되어 전국에 적응하는 우량품종으로 결정되었다. |
|
|
|
|
|
|
|
2. 주요특성 |
|
양절메밀2호의 주요특성은 재배생태형이 여름메밀로 여름재배와 가을재배가 가능하고 경장이 83㎝로 짧아 도복에 강하며 줄기색은 적색, 꽃색은 백색, 종실색은 흑갈색이다. 생육일수는 표준품종 양절메밀과 같은 68일로서 조숙종이다. |
|
|
|
|
|
|
|
표 1. 양절메밀2호의 주요특성 |
|
계통명 |
재배생태형 |
생육일수 (일) |
경 장 (cm) |
화방수 (개/주) |
줄기색 |
꽃색 |
종실색 |
양절메밀2호 양절메밀 |
여름메밀 여름메밀 |
68 68 |
83 85 |
12.6 10.5 |
적색 적녹색 |
백색 백색 |
흑갈색 흑색 | |
|
|
|
|
|
|
|
3. 수량성 |
|
..양절메밀2호는 1994~1996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10a당 평균 종실수량이 수원 135㎏ (48%), 춘천 166㎏(16%), 평창 103㎏(20%), 제주 209㎏(17%)으로 4개지역 평균 151㎏으로 표준품종인 양절메밀에 비하여 25% 증수하였으며, 또한 1995년 강원 원주와 제주 북제주에서 실시한 농가실증시험에서는 양절메밀2호는 10a당 종실수량이 2개지역 평균 211㎏의 높은 수량성을 보여 표준품종인 양절메밀에 비하여 12% 증수되었다. |
|
|
|
|
|
|
|
표 2. 양절메밀2호의 종실수량성 |
|
시험구분 |
시험지 |
수량(MT/ha) |
수량지수 (A/B) |
양절메밀2호(A) |
양절메밀(B) |
지역적응시험 농가실증시험 |
전국평균 원주, 북제주 |
151 211 |
121 189 |
125 112 | |
|
|
|
|
|
|
|
4. 품질특성 |
|
..과피비율이 낮은 반면 메밀쌀비율이 75.2%로 높고 단백질함량은 높으나 루틴함량은 약간 낮으며 천립중이 29.5g으로 대립종이다. |
|
|
|
|
|
|
|
표 3. 메밀쌀 비율 및 단백질과 루틴함량 (작시 : 1992~1994) |
|
계통명 |
과피비율 (%) |
메밀쌀비율 (%) |
단백질 (%) |
루틴함량 (mg/100g) |
1000립중 (g) |
양절메밀2호 양절메밀 |
24.8 28.2 |
75.2 71.8 |
13.5 13.0 |
1.4 2.1 |
29.5 26.3 | |
|
|
|
|
|
|
|
5.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
|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한 품종이며, 자가불화합성 타가수정 품종이므로 격리 채종재배하고, 습해에 약하므로 배수 양호한 논·밭을 선정하여 재배지별 적기파종하여야 유리하다. |
|
|
|
|
|
|
|
그림 1. 양절메밀2호(수원15호)의 종실형태 및 개화기 광경 |
|
|
|
|
|
|
|
참 고 문 헌
농업과학논문집 39(1). 1997. 조숙단간 양질다수성 여름메밀 신품종"양절메밀". ______________ 37(2). 1995. 메밀 유전자원의 농업형질 및 생산성. 농촌진흥청. 1995. 농촌지도사업 활용자료. __________. 1992. 시험연구사업 연보.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