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육성내력 |
|
대산메밀은 1989년 수원재래종 모집단을 격리 채종재배하여 표현형 집단선발법에 의하여 선발한 후 계통명을 수원2호로 부여하고 1993~1997년 5개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실시한 바 소립, 다수성 가을메밀로 유망시 되어 1995~1998년 4개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고 그 우수성이 확인되었으며 1998년 농가실증시험 재배결과에서도 다수성이 인정되어 ’수원메밀’로 명명하였으나 다시 ’대산메밀’로 정정하여 부르게 되었다. |
|
|
|
|
|
2. 주요특성 |
|
|
가. 고유특성 |
|
|
대산메밀의 줄기색은 적색, 입형은 소립종이며 종실색은 갈색이고 재배생태형은 가을메밀로 여름파종에 알맞다. |
|
|
|
|
|
|
|
|
표 1. 대산메밀의 고유특성 |
|
|
계통명 |
재배 생태형 |
경장 |
줄기색 |
꽃색 |
립형 |
종실색 |
숙기 |
대산메밀 |
가을메밀 |
중간 |
적 색 |
백색 |
소립 |
갈 색 |
중숙 |
양절메밀(표준) |
여름메밀 |
단간 |
적 색 |
백색 |
중립 |
흑 색 |
조숙 | |
|
|
|
|
|
|
|
|
나. 일반특성 |
|
|
대산메밀의 생육일수는 74일, 중숙종으로 경장이 103㎝로 길며 화방수가 많다. |
|
|
|
|
표 2. 대산메밀의 일반특성 |
|
|
계통명
|
생육일수 (일) |
경 장 (cm) |
분지수 (개/주) |
화방수 (개/주) |
대산메밀 양절메밀(표준) |
74 68 |
103 85 |
4.0 5.6 |
25.1 10.5 | |
|
|
|
|
|
다. 재해 및 병충해 저항성 |
|
|
병충해에는 비교적 강한 품종이나 습해에는 약한 편이다. |
|
|
|
|
3. 수량성 |
|
|
가. 생산력검정시험 |
|
|
1993~1997년 실시한 생산력검정시험에서는 10a당 평균 종실수량이 139㎏으로 표준 품종인 양절메밀 90㎏에 비하여 54%증수되었다. |
|
|
|
|
|
표 3. 대산메밀 생산력검정시험 종실 수량성 (작시 : 1993~1994) |
|
|
계통명
|
종 실 수 량(kg/10a)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평 균
|
지 수 |
대산메밀 양절메밀 |
119 81 |
132 110 |
115 83 |
179 85 |
148 90 |
139 90 |
154 100 | |
|
|
|
|
|
나. 지역적응시험 |
|
|
1995~1998년 실시한 지역적응 시험에서 10a당 평균 종실수량이 수원 135㎏, 평창 108㎏으로 2개지역 평균 126㎏으로 표준품종인 양절메밀에 비하여 59% 증수되었다. |
|
|
|
|
|
표 4. 대산메밀의 지적시험 종실 수량성 (지적 : 1995~1998) |
(단위 : kg/10a) | |
|
|
|
시험 장소
|
대산메밀 |
양절메밀(표준) |
1995 |
1996 |
1997 |
1998 |
평균 |
1995 |
1996 |
1997 |
1998 |
평균 |
수 원 평 창 |
115 63 |
132 202 |
157 - |
153 60 |
135 108 |
74 65 |
97 112 |
85 - |
99 19 |
89 65 |
평 균 |
89 |
167 |
157 |
107 |
126 |
70 |
105 |
85 |
59 |
79 |
지 수 |
|
159 |
|
100 | |
|
|
|
|
4. 품질특성 |
|
|
가. 종실 품질 |
|
|
대산메밀은 메밀쌀비율이 84.4%로 높고, 과피두께가 0.08㎜로 얇으며 단백질함량이 높고 천립중이 23.7g으로 소립종이다. |
|
|
|
|
|
품종 및 계통명
|
메밀쌀비율 (%) |
과피두께 (㎜) |
조단백질함량 (%) |
루틴함량 (㎎/100g) |
1000립중 (g) |
대산메밀 양절메밀(표준) |
84.4 83.3 |
0.08 0.13 |
12.9 11.2 |
23.7 24.8 |
23.7 24.8 | |
|
|
|
|
|
나. 메밀 싹기름 품질특성 |
|
|
콩나물형 메밀싹기름의 특성에서는 메밀싹기름은 종실에 비하여 루틴함량이 약27배 증가되고, 무기성분 및 아미노산의 함량과 조성비율이 우수하고 메밀싹기름 수율은 97%이다. |
|
|
|
|
|
표 6. 메밀싹기름의 주요 품질특성 (작시 : 1996) |
|
|
치상후 일수 (일) |
줄기 길이 (㎝) |
줄기 굵기 (㎛) |
수 량 (생체중/ 100g종실)
|
루틴 함량 (㎎/100g) |
조섬유 (%)
|
조회분 (%) |
총 아미노산 (㎎/100g) |
무기물 (㎎/100g) |
7 종실 |
15.2 - |
85 - |
970 100 |
2.93 0.106 |
7.6 3.8 |
2.9 2.8 |
10,675 7,722 |
3,273 869 | |
|
|
주) 재배온도 : 30℃ |
|
|
|
|
5.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
|
경기, 강원, 경북 중산간지역에 적합하며 배수가 양호한 논, 밭을 선정 재배하고 시험지별 파종적기에 파종하여야 하며 자가불화합성 타가수정 품종이므로 격리 채종재배를 하고 종실이 80% 성숙할 때 수확하여야 한다. |
|
|
|
|
|
|
|
그림 1. 대산메밀(수원2호)의 종실 및 싹기름 모양 |
|
|
|
|
참 고 문 헌 |
|
|
|
농업과학논문집 39(1). 1997. 조숙단간 양질다수성 여름메밀 신품종 ’양절메밀’. 농촌진흥청. 1998.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 결과. __________. 1995. 농촌지도사업 활용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