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메밀싹기름이란 ? | |||||||||||||||||||||||
메밀 싹기름이란 메밀을 싹을 틔워서 그 모습이 마치 콩나물이나 녹두나물과 아주 비슷한 형태로 재배한 것을 말한다. 즉 콩이나 녹두를 가지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을 기르는 것과 같이 메밀종자를 싹을 틔워 기른 것을 말하며 메밀 싹기름은 그 길이가 15~16㎝, 굵기가 0.9~1㎜ 정도에 이른다. 국내의 메밀 소비는 메밀종자를 가루로 만들어 묵이나 막국수 또는 냉면 등으로 만들어 이용하고 있을 뿐입니다. 국내의 메밀재배 현황을 살펴보면 약 6,700㏊의 재배면적에서 약 7,000톤 정도가 생산되고 있으나 국산 메밀은 1,500원/㎏으로 중국산 240원/㎏보다 가격이 비싸서 많은 메밀을 수입하여 국내수요를 충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산메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새로운 가공식품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수입메밀과의 품질 차별화를 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던 중 국산메밀을 활용한 고품질 기능성 메밀 싹기름을 개발하게 되었다. | |||||||||||||||||||||||
2. 콩나물형 메밀싹기름 재배법 | |||||||||||||||||||||||
콩나물 재배와 비슷한 방법으로 메밀 싹기름을 재배하는데 특별히 뿌리의 매트 형성과 암조건 유지 및 살수식 재배가 관건이라 할 수 있으며 메밀 싹기름을 기를 때 주의할 사항은 순도가 높은 메밀종실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묵은 종자가 아닌 국산 메밀중 싹기름 재배에 적합한 종자를 이용해야 고품질의 메밀 싹기름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 유의한다면 대체로 6일부터 8일 사이에 품질 좋은 메밀싹을 수확할 수 있게 되며 수율은 100g 종자당 970g 정도에 이른다. 그러나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메밀의 종실을 수집하여 메밀 싹기름의 재배시험을 실시하여 본 결과 수입된 메밀의 종자는 거의 발아되지 않았고 국내에서 육성 또는 재배 생산된 품종중에서도 일부만이 콩나물형 메밀 싹기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앞으로 새로운 채소로서 신수요를 창출하고 메밀의 부가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메밀재배농가 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금후 대량생산 체계가 마련된다면 새로운 기능성 대중 식품으로 정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메밀 싹기름의 재배법은 다음과 같다.
| |||||||||||||||||||||||
3. 메밀싹기름의 영양학적 가치 | |||||||||||||||||||||||
메밀을 싹을 틔워 콩나물형으로 싹기름을 재배하면 각종 혈관계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루틴(Rutin) 함량이 종실 보다 무려 27배나 증가되었다. 총 아미노산은 종실상태에 비하여 약 30%가 증가되는데 이중 아스파틴산(Aspartic acid), 글루탐산(Glutamic acid), 라이신(Lysine) 등의 함량이 높은데, 특히 일반 곡류에 부족되기 쉬운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함량이 각종 곡류 및 채소류에 비해 월등히 높을뿐만 아니라 단백질중 Lysine의 구성 비율도 종실에 비해 3~4배 높아 영양학적으로도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 |||||||||||||||||||||||
표 1. 메밀싹기름의 일반특성 및 주요 성분 함량 | |||||||||||||||||||||||
| |||||||||||||||||||||||
뿐만 아니라 무기물 및 섬유소의 함량이 증가되며 특히 칼슘, 칼륨,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아 고알카리성 식품이라 할 수 있으며, 유리당의 조성도 자당(sucrose) 이나 맥아당(maltose) 같은 이당류에서 과당(fructose) 이나 포도당(glucose)과 같은 단당류로 전환되기 때문에 건강 기능성 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신선 채소라 할 수 있다. | |||||||||||||||||||||||
표 2. 메밀싹기름의 유리당 조성 비교 | |||||||||||||||||||||||
| |||||||||||||||||||||||
4. 메밀싹기름의 이용법 | |||||||||||||||||||||||
메밀 싹기름은 그 맛이 담백하고 질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콩나물은 비린내가 나서 생으로 먹을 수가 없으나 메밀 싹기름은 비린내가 나지 않기 때문에 날 것으로 먹을 수 있으며, 불고기나 회를 먹을 때 겯들임 채소, 각종 샐러드와 나물무침 또는 국거리에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
'오작교쓴메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년도 산 쓴메밀 판매 (0) | 2008.07.05 |
---|---|
메밀싹기름 및 재배방법 (0) | 2008.07.05 |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토양개량제의 효과 (0) | 2008.07.05 |
다수확 재배기술 (0) | 2008.07.05 |
대산메밀 (0) | 2008.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