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청자3호

청자3호

오작교농장 2008. 11. 28. 20:57

1. 육성경위

 작물과학원에서는 내재해성과 종실특성이 우수한 녹자엽 검정콩 품종을 개발하고자 1995년도에 재래종 서리태에서 순계 분리한 수원174호를 모본으로, 내재해 다수성인 검정콩 계통 목포17호를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하였다. 이후 계통육종법에 의한 선발과정을 거치면서 특성검정과 생산력검정을 실시하여 SMV와 불 마름병에 강하면서 대립인 SS95303-2B-4-2-1-1-1-1 계통을 선발하여 밀양136호의 계통명을 부여하고 지역적응 시험과 특성검정 결과, 수량성과 내병성이 인정되어 2004년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국가품종목록 등재품종으로 선정하고 품종명을 청자3호로 명명하였다.


2. 주요특성

 가. 고유특성

 청자3호는 유한신육형 품종으로 꽃색은 자색이고 엽형은 난형이며, 모용색은 갈색이다. 성숙기의 협 색깔은 암갈색을 띄며, 종피색과 배꼽색은 흑색이고 자엽색은 녹색이다. 또한, 종실의 입형은 편구형이고 백분은 거의 없다. 성숙기 때  포장에서 탈립이 일어나는 협(꼬투리) 개열성은 다소 약한 편이다.

 표 1. 고유특성 (호농연 : 2002~2004)

품 종 명

신육형

엽형

꽃색

모용색

종피색

배꼽색

자엽색

입형

협 개열성

청자3호

유한

편구

중약

청 자 콩

유한

편구

중약

 

 나. 일반특성

 개화기는 7월 30일로 청자콩보다 2일 정도 늦고 성숙기는 10월 10일로 7일 정도 늦은 만숙 품종이다. 경장은 66㎝ 정도로 청자콩에 비하여 6㎝ 작고, 도복에는 비교적 강한 특성을 갖는다. 밥밑콩의 중요한 특성의 하나인 100립중은 32.1g으로 청자콩에 비하여 3.7g정도 무거운 대립종이다.

 표 2. 일반특성 (지적 : 2002~2004)

품 종 명

개화기
(월.일)

성숙기
(월.일)

경장
(㎝)

주경
절수

도복
(0~9)

협수
(개/개체)

 100립중
(g)

청자3호

7. 30

10. 10

66

13

2

31

32.1

청 자 콩

7. 28

10. 3

72

13

4

29

28.4

주) 파종기 : 5월 중순,  시비량(㎏/10a) : N-P 2 O 5 -K 2 O=3-3-3


 다. 내재해성

 내습성 및 내한발성 정도는 대비품종인 청자콩과 비슷한 수준이나 불마름병에 대해서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인공접종 결과, 강독성 race인 G5, G6H, G7H에 모두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포장 저항성에서는 콩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중강 정도의 반응을 보였으나 괴저증상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표 3. 내병성 (지적 : 2002~2004)

품 종 명

내재해성(0 ~ 9)

불마름병
(0~9)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

유묘 접종반응

포장 저항성

내습성

내한발성

G5

G6H

G7H

모자이크
(0~9)

괴저
(%)

청자3호

중강(3)

중(4)

1(강)

-/-

-/-

-/-

중강(3)

0

청 자 콩

중(4)

중(4)

3(중강)

-/-

-/M

-/M

강(2)

0

주) 접종엽 / 상위엽 반응,   M : 모자이크,  - : 무병징



 라. 종실품질

(1) 일반성분

 조단백 함량은 42.4%로 청자콩에 비하여 다소 높은 반면, 조지방 함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Sucrose함량과 총 당함량도 청자콩에 비하여 높았으나, 지방산조성 중 불포화 조성비율은 비슷하였다.

 표 4 . 일반성분 (영농연 : 2003~2004)

품 종 명

일반성분(%)

당 함량(%)

지방산조성(%)

조단백

조지방

Sucrose

총 당

포화

불포화

C18:1

C18:2

C18:3

청자3호

42.4

19.5

6.4

9.8

12.8

24.7

54.8

7.9

청 자 콩

41.3

23.2

4.9

8.1

13.9

28.4

51.6

7.9

 또한, 총 Isoflavone함량은 물론  Isoflavone 성분 중 기능성이 우수한 Genistein 함량이 청자콩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경향이었으며, 항산화성 물질로 알려진 안토시아닌도 비교적 높았다.

 

 표 5. 기능성 성분 (영농연 : 2003~2004)

품 종 명

Isoflavone (㎍/g)

안토시아닌함량
(㎎/g)

Daidzein

Glycitein

Genistein

Total

청자3호

298.2

45.3

562.1

891.1

12.1

청 자 콩

199.2

48.4

379.2

626.7

 9.1

 (2) 수분흡수 및 경실 종자율

 청자3호는 물에 담갔을 때 초기에는 수분을 서서히 흡수하지만, 수분 흡수가 완료되는 시점인 침종 후 12시간의 수분흡수율은 대비품종인 청자콩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는 경실종자(hardness seed)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취반 시 색소가 용출되어 밥에 착색되는 정도는 비교적 낮았다.

 표 6. 수분흡수 및 경실 종자율 (영농연 : 2004)

품 종 명

수분 흡수율(20 ℃, %)

경실 종자율
(%)

취반시
색소 착색

2시간

12시간

청자3호

58

122

0.0

낮음

청 자 콩

86

128

0.5

낮음

3. 수량성

 가. 생산력검정시험

 수원에서 2년간(2000~2001) 실시한 생산력검정시험에서 221㎏/10a로 대비품종인  검정콩1호에 비하여 6% 정도 증수되었다 .

 표 7. 생산력검정시험 (영농연 : 2000~2001)

품 종 명

수    량 (kg/10a)

지  수

생  예

생  본

평  균

청자3호

193

249

221

106

청 자 콩

193

225

209

100

주) 파종기(월.일) : 5. 20

 

 나. 지역적응시험

 전국 6개 지역에서 3년간(2002~2004) 수행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6개소 평균수량이 240 ㎏ /10a로 청자콩보다 12% 높은 다수성 품종이었다.


 표 8. 6개소 평균 수량

구분

청자3호(㎏/10a)

청자콩(㎏/10a)

2002

2003

2004

수량

지수

2002

2003

2004

수량

수량

219

226

276

240

112

187

220

241

216

주) 파종기 : 5월 중순,  재식밀도 : 60×15㎝ 1주 2본

 

 

4.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청자3호는 광지역성 품종으로 전국 어디에서나 재배가 가능한 품종이며, 불마름병과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비교적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적정 파종기는 단작지에서는 5월 중하순, 2모작지대는 6월 상순경이다. 지나치게 조기 파종하게 되면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병과 도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과번무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본엽 5~7매기에 순지르기를 하여야 한다. 재배조건에 따라서 종피가 다소 터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2005. 2004년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 결과.

농촌진흥청. 2005. 2004년도 하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연구 보고서.

작물과학원.  2001. 2001년도 시험연구보고서(전작분야).

집필 : 영남농업연구소 박금룡 (전화 : 055-350-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