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낭콩
○ 학명 : Phaseolus vulgaris L .
○ 원산지 : 중앙멕시코, 과테말라
○ 영명 : bean, common bean
1. 잘 자라는 환경조건
○∙ 싹트는 온도 : 20∼30℃
○ 잘 자라는 온도 : 10∼25℃
☞ 여름철 고온기에 재배하는 경우에는 종자발육이 장해를 받음
○ 토양조건 : 수분을 잘 보유하고 물빠짐도 잘되는 식양토가 좋음
○ 토양산도 : pH5.5∼6.8,
○ 토양수분 : 습해에 비교적 약하여 습해를 받으면 아래쪽 잎이 누렇게 변하여 낙엽의 시기가 빨리 오고 인산흡수가 저해되므로 배수에 관심을 가져야 함
2. 재배일정(보통재배)
월 작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
강낭콩 |
||||||||||||||||||||||||||||||||||||
●• |
||||||||||||||||||||||||||||||||||||
3. 품종의 선택
○ 왜성종(矮性種) : 직립형이고 생육기간이 50일 내외로 짧다. 만성종에 비하여 고온에 약하고 저온기에 열매가 잘 달리는 품종이 많다.
○ 만성종(慢性種) : 덩굴성이고 비교적 고온과 병해에는 강함. 키가 크고 측지의 발생이 많아 생육기간과 수확기간이 길며 수량성도 높다. 저온기에는 열매가 잘 안달리고 고온기에는 비교적 강한 특성이 있어 고온기의 노지에서 비교적 긴기간의 재배에 적합하다
4. 강낭콩 키우기
○ 텃밭 준비
∙- 강낭콩은 같은 장소에서 계속 기르면 탄저병발생이 많아져 생육이 불량해지고 수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같은 장소에서 재배하고자 한다면 2~3년 정도 다른 작물을 재배한 후 다시 심는 것이 좋다.
- 비가 많이 오거나 건조할 때 피해를 방지하도록 경운을 깊게 한다
< 왜성종(좌)과 만성종(우) >
○ 씨뿌리기 및 시비
-∙ 씨뿌리기는 평균기온이 10℃ 이상이고 늦서리의 피해가 우려되지 않는 시기에 가능한 빨리 한다.
- 심는 거리는 왜성종은 휴폭 45~60㎝, 주간을 20~30㎝로 하고 만성종은 휴폭 75㎝에 주간 50~60㎝로 하여 2~3립 점파한다.
- 복토는 3㎝ 정도로 하고 파종량은 10a 당 6~9ℓ이며 파종시에는 이랑을 약간 세우고 이랑위에 파종하는 것이 물빠짐이 잘 되어 유리하다
- 시비량은 토질 및 품종에 따라서 가감이 필요하지만 대체로 10a당 질소는 3~5㎏, 인산은 4~8㎏, 염화가리는 6~10㎏ 주는데 질소는 경우에 따라서 시용량을 현저히 늘리며 왜성종은 전량 정식하기 전 토양을 준비할 때 주고, 만성종은 정식하기 전 60%, 정식 후에 40% 2회 분할하여 주며 가리와 인산은 품종에 관계없이 전량 정식 전에 준다.
- 정식 후에 추가로 비료를 주고자 할 때는 만성종은 생육상태를 보아가며 꼬투리가 생길 무렵 및 수확기에 주도록 하고 왜성종은 생육기간이 짧기 때문에 정식 전에 준 비료의 양이 충분하다면 추가로 비료를 주지 않아도 좋다.
○ 생육 및 포장관리
-∙ 발아 후 본엽이 나오면 생육이 불량하거나 병이 들은 개체를 제거하고 1주 2본립으로 세운다.
- 만성종은 파종 후 20일 전후해서 덩굴이 신장하기 시작하므로, 파종 전에 지주를 세우는 것이 원칙으로 하되 가능한 지주를 빨리 세우는 것이 작업효율이 높고 식물체의 손상이 적다. 보통 본엽 1~2매가 전개되었을 경우 유인하는 것이 좋다.
- 직립형은 지주를 세울 필요가 없으나 지나치게 무성할 경우 쓰러지기 쉬우므로 지주를 세워주는 것이 좋다.
- 토양수분은 꽃이 필 때까지는 토양을 다소 건조한 상태로 관리 하지만, 꼬투리가 생긴 이후에는 꼬투리의 신장과 비대에 수분이 많이 필요하므로 10~15일 간격으로 충분히 준다. 물주기는 맑은 날 오전 아침에 하는 것이 좋다.
5. 생리장해 및 병충해 관리
∙○ 주요 병해 : 묘입고병, 탄저병,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녹병, 바이러스병
∙○ 주요 충해 : 진디물, 바구미 등이 있으나 충해는 쉽게 방제할 수 있음
6. 수확하기
∙○ 수확기는 보통 꽃이 핀 후 25~30일 정도 경과되어 꼬투리가 변색 될 때이며, 왜성 강낭콩은 일시에 수확하지만 덩굴 강낭콩은 여러 번에 걸쳐서 장기간 수확한다.
<표1> 강낭콩의 생육과정에 따른 주요농작업과 기상재해 및 문제점
7. 이용 부위와 영양적 가치
○ 강낭콩의 종실은 탄수화물 56~61%, 단백질이 21~39%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녹색 꼬투리는 단백질이 6.2%, 탄수화물이 63% 정도 들어있다.
<표2>종실용 강낭콩의 주요성분(시료 100g중)
열량 (㎏) |
수분 (g) |
단백질 (g) |
지질 (g) |
탄수화물 (g) |
무기질 (g) |
346 |
12.0 |
22.9 |
1.3 |
60.6 |
3.3 |
? 자료작성 : 농업연구사 이희주 (031-240-3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