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중계포커스

유용한 미생물 이엠

오작교농장 2011. 3. 20. 21:52

 

유용미생물 이엠(EM)

미생물이란

미생물이란 눈으로는 볼 수 없을 만큼 미세한 생물의 총칭으로 세균, 곰팡이, 효모, 남조류, 바이러스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지금까지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결핵균, 콜레라균, 페스트균 등 인간의 건강을 해치는 병원성 세균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미생물은 위험하고 불결한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습니다. 그러나 미생물에 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사실이 많으며,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미생물은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미생물이 지배하는 세계


‘지구상에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곳은 없다’고 할 만큼 미생물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합니다. 건강한 흙 1g 속에는 무려 10억 개 가량의 다양한 미생물이 들어 있습니다. 이들 미생물은 쓰러진 나무나 낙엽, 마른 풀, 동물의 시체나 배설물 등의 유기물을 능률적으로 탄산가스와 물, 무기물로 분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미생물의 작용 덕분에, 흙에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양분이 생성되고 대기 중에는 식물의 호흡에 필요한 탄산가스의 90%가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미생물은 중간자적 성질


우리는 흔히 미생물을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구분하려고 합니다. 유산균, 누룩곰팡이 등은 생활에 유용한 미생물이지만 결핵균, 콜레라균, 살모넬라균 등 유해균은 전체 미생물 중 소량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미생물은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닌 중간적인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자연 상태에 우유를 둘 경우 강력한 부패균이 작용하게 되며 나머지 중간자적 성질의 미생물들은 부패균을 따라 부패 작용에 개입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우유에 유용미생물을 넣으면 썩는 대신 발효가 되며 나머지 중간자적 성질의 미생물들 또한 유용한 쪽으로 끌어오는 역할을 합니다. 
 
미생물과 함께하는 건강한 삶

 

아이가 태어나면 약 3조 개의 세포를 가지게 됩니다. 이 아이가 어른으로 성장하면 세포수가 60~100조 개까지 늘어납니다. 그런데 우리 몸에서 우리와 더불어 사는 미생물의 수는 세포 수보다 10배 가량 많습니다. 그렇다고 불결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들 미생물들은 우리 몸에 해를 입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나쁜 미생물을 물리쳐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이로운 미생물을 정상균총이라고 부릅니다. 정상균총에 문제가 생기면 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피부나 두피에는 건강을 지키는 미생물들이 놀라울 만큼 많이 밀집해서 활동하며 외부로부터의 병원균 침입과 감염을 방지합니다. 또한 인간의 대장에 사는 장내 미생물은 대장 내용물 1g마다 1조 마리가 상존하는데, 우리 몸이 직접 만들지 못하는 비타민 B1, B2, B6, B12와 비타민 K 등을 만들어냅니다.
우리 민족은 음식의 발효에도 미생물을 활용해 왔으며, 음식으로 섭취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미용과 건강에 좋다는 요구르트 한 숟가락에는 20억 마리 이상의 유산균, 콩 한 알 정도의 청국장에는 3억 마리 이상의 납두균, 각종 장아찌에는 10억~20억 마리 가량의 세균과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EM 유용한 미생물


EM은 Effective Microorganisms의 줄임말로 ‘유용한 미생물군’이라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효모, 유산균, 누룩균, 광합성세균, 방선균 등 80여 종의 미생물이 들어 있어 악취 제거, 식품의 산화방지, 하수구 정화, 음식물쓰레기 발효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미생물들은 항산화 작용 혹은 생리 활성물질을 생성하며 부패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EM 안에는 인류가 오래 전부터 식품의 발효 등에 이용해왔던 미생물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EM은 이러한 미생물들을 공생시킴으로써 그 작용을 강화시켜 자연을 소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효모

 

 

효모는 발효(醱酵)의 모체(母體)란 뜻으로 양조, 제빵에 필수적이다. 곰팡이의 일종으로 인간생활에 필수불가결한 미생물이며 아미노산, 다당류 등 생리활성물질과 지베를린이라는 식물의 성장촉진 호르몬을 만들어낸다

 

광합성균

 

 

약 35억년 전, 지구에 찾아온 최초의 생물. 태고적 지구를 덮고 있던 이산화탄소, 수소 등의 무기물을 흡수, 유기화합물의 합성 및 산소를 생성하여 오늘의 지구를 만든 공로자이다.
EM 속의 할아버지 격인 미생물로 산소를 싫어하기 때문에 EM을 보관할 때는 산소를 차단시켜 주어야 한다. 호기성, 혐기성 등 유용미생물 모두의 생존 증식에 도움을 주며 아조토박타, 효모, 유산균 등 유기 영양균과 공생하면서 질소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유산균

 

 

분류상 세균의 일종으로 당분을 유산으로 바꾸는 작용을 하며, 다른 미생물과 비교적 잘 공존·공생하는 특징이 있다. 1857년 파스퇴르가 최초로 발견, 인간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미생물임이 확인되고 있다. 정장 작용, 면역기능 향상, 항종양성, 콜레스테롤 억제, 혈압 조정 작용 등을 한다.
EM 속의 유산균은 유해균을 억제하고 좋은 균을 증식시키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