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산야초

광대싸리

오작교농장 2011. 6. 27. 08:40

 

이른 봄 어린순을 나물로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잎, 줄기, 뿌리를 一葉萩(일엽추)라 하여 약용한다.

광대싸리에 함유된 세쿠리닌(securinine)은 알칼로이드계 유독성 물질로 동물의 중추신경 계통을 흥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대싸리(Securinega suffruticosa Rehder)는 대극과의 잎이 지는 키작은나무로 대부분 2~3m의 관목의 형태를 띠지만 간혹 10m까지 자라는 것도 있다.

우리나라 전국에 자생하며 일본, 대만에도 분포한다.

비교적 볕이 잘 드는 계곡주변 및 산기슭에서 자란다.

싸리는 아니지만 싸리와 비슷하다 하여 광대싸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수피는 다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세로로 갈라지고 가지는 끝이 밑으로 처진다.

어린가지는 주로 적갈색을 띤다.

 식물의 병원성 및 부패유기물을 영양원으로 하는 곰팡이균들(Alternaria alternata, Alternaria brassicae, Alternaria brassicicola, Curvularia lunata, Curvularia maculans, Curvularia pallenscens, Colletotrichum musae, Colletotrichum sp., Erysiphe pisi, Helminthosporium echinoclova, Helminthosporium spiciferum, Heterosporium sp.)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항균 및 살균 효과를 나타내었다는 실험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세쿠리닌(securinine) 함유량이 가장 많은 개화기 때에 식물 전체를 생으로 물이나 주정에 우려내거나, 말려 달이는 등의 방법으로 천연농약으로 활용하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싸리는 아니지만 싸리와 비슷하다 하여 광대싸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www.naturei.net 2010-11-25 [ 유걸 ]


싸리나무는 잎이 3출엽인데 비해 광대싸리는 홑잎으로 어긋나게 달리며,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물결모양으로 구불거린다.

잎이 약간 두껍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암수딴그루로 6~7월에 옅은노란색 꽃이 핀다.

수꽃은 여러 개가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꽃받침과 수술이 각각 5개씩이다.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2~5개씩 달리는데 3개로 갈라진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아래를 향해 매달리며 익으면 3개로 갈라진다.

6개의 씨앗이 들어있다.


홑잎으로 어긋나게 달리며, 타원형으로 잎이 약간 두껍고 양면에 털이 없다
www.naturei.net 2010-11-25 [ 유걸 ]


재배 방법
반그늘식물로 주로 개울가나 계곡 주변에서 자생하고 산기슭 및 산 중턱의 건조한 곳에서도 자란다.

추위에도 강한 편이다.

비교적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성장이 우수하며 공해에는 약한 편이다.

번식은 결실기인 8~9월에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약성 및 활용
이른 봄 어린순을 나물로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잎, 줄기, 뿌리를 一葉萩(일엽추)라 하여 약용한다.

여름철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

식물 전체에 세쿠리닌(securinine)이 함유되어 있는데 개화기의 함유량이 가장 많고 결실기가 최저이다.

건조된 잎의 securinine 함유량은 보통 0.2-0.3%이다.

어린 줄기와 익은 과실에도 securinine이 함유되어 있으나 잎의 함유량보다는 적다.

잎에는 rutin 13%, tannin, 소량의 allosecurinine, dihydrosecurinine과 3종의 securinol이 함유되어 있고 뿌리에는 다량의 allosecurinine 0.42%와 소량의 securinine, securinine의 methoxy體(체) securitinine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기름이 7.13% 함유되어 있다.’


암수딴그루로 6~7월에 옅은노란색 꽃이 핀다
www.naturei.net 2010-11-25 [ 유걸 ]


세쿠리닌(securinine)은 알칼로이드(alkaloid)계 유독성 물질로 동물의 중추신경 계통을 흥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세쿠리닌에 대해서 ‘중추 및 말초신경 계통의 여러 가지 기능적 손상으로 인한 질병, 즉 신경계통의 반사흥분성의 저하로 오는 운동장애, 전염성 질병 특히 척수회백질염 뒤에 오는 부전마비와 완전마비, 감기와 전염성 질병에 의한 안면신경마비에 쓴다.

또한 병후쇠약, 무력증, 저혈압, 신경쇠약, 급성적인 심장쇠약, 만성 알코올중독, 성기능 감퇴 등에도 쓴다.

척수회백질염의 회복기에 이 약을 쓰면 운동성과 힘줄반사를 높여준다.

많은 양을 쓰면 숨가쁨과 경련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쓰는 양에 주의해야 한다.’고 적고 있다.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아래를 향해 매달리며 익으면 3개로 갈라진다
www.naturei.net 2010-11-25 [ 유걸 ]


또한 세쿠리닌(securinine)은 항균 및 살균 효과를 가지고 있다.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나무(충기피식물)  (0) 2011.07.03
겨자  (0) 2011.06.27
사상자  (0) 2011.06.26
노간주나무  (0) 2011.06.26
노각나무  (0) 2011.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