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산야초

충기피식물 - 미국자리공

오작교농장 2012. 1. 6. 18:41

 

뿌리를 으깨면 나오는 즙액의 독성을 활용해 물고기를 잡는 데 쓰기도 하였으며 열매를 입으로 씹으면 수 시간 이상 혀 마비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들판에서 자라고 있는 미국자리공
www.naturei.net 2008-08-26 [ 유걸 ]


미국자리공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자리공과의 다년생 식물이다. 1950년경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귀화식물로 지금은 우리나라 도처에서 자라고 있다.

이젠 자리공 하면 미국자리공을 떠올릴 정도로 한적한 시골로 밀려나 구경조차 어려운 토종 자리공의 위치를 위협하고 있다.
키가 1∼1.5m에 이르는 비교적 큰 키로 잎이 넓으며 뿌리가 비대해 번식력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는 미국자리공은 열매와 뿌리 또한 산성을 띠고 있어 토양을 더 산성화시키고 우리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한때 사회적 파문이 일기도 했다.

토종 자리공과 미국자리공을 구분하자면,
1. 줄기 색깔이 자리공은 녹색이고 미국자리공은 적색이다.
2. 자리공은 5-6월에 꽃이 피고 미국자리공은 6-9월에 핀다.
3. 자리공은 꽃 색깔이 희고 미국자리공은 붉은 색이 도는 흰색이다.
4. 한 개의 꽃과 열매에 자리공은 씨방 수와 수술 수, 씨앗이 8개인 반면, 미국자리공은 10개씩이다.


 

미국자리공 꽃
www.naturei.net 2008-08-26 [ 유걸 ]

재배방법과 생리
도처에서 자라기 때문에 구하는 것이 쉽다. 채취한다면 봄에 새싹이 나온 지 얼마 안 된 것이 좋다. 봄에는 뿌리가 깊지 않을 뿐더러 성장기라서 뿌리가 조금만 붙어 있어도 이식하면 쉽게 뿌리를 내린다. 또는 가을에 잘 익은 씨를 채집해 심어도 된다. 종자로 키워도 2~3년 후에는 뿌리가 크게 성장한다. 꺾꽂이로도 간단하게 뿌리를 내리므로 봄에서 여름에 걸쳐 10센티 정도의 가지를 삽목해도 된다.
재배방법에 관해서는, 아스팔트의 조그만 틈에서도 자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아주 강한 식물이기 때문에 어디서든 키우는 게 가능하다. 또한 건조에도 매우 강해 특별히 물주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없다. 단, 아무리 건조에 강하고 튼튼한 식물이라고 해도 음지에서는 잘 자라지 않기 때문에 채광이 좋은 곳에서 키우는 것이 좋다.

 


미국자리공 열매
www.naturei.net 2008-08-26 [ 유걸 ]

약리작용
뿌리를 으깨면 나오는 즙액의 독성을 활용해 물고기를 잡는 데 쓰기도 하였으며 열매를 입으로 씹으면 수 시간 이상 혀 마비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오줌내기약으로 콩팥염, 문정맥성 간경변으로 인한 부기, 물고임에 쓴다. 민간에서는 뿌리를 물에 달인 것을 구토약, 살충제, 설사약으로 쓴다. 유독성 식물로 과다 복용시 구토, 복통, 어지럼증, 두통, 흥분 등의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임신부, 허약자에게는 쓰지 않는다.(동의학사전)

과거에는 서양에서도 자리공을 구토제나 류머티스 약으로 사용하기도 했으나 약효 보다는 강한 독성 때문에 현재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일반인은 사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보유 독성분은 질산칼륨, 피톨락카톡신 등이다. 풀 전체에 독이 있으나, 특히 뿌리와 잘 익은 열매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열매가 먹음직스러워 자칫 입에 넣으면 일순 타는 듯 한 느낌이 들어 토해 내게 된다. 그러나 어린 아이가 열매를 설탕과 섞어 즙을 내어 먹고 사망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미국자리공 뿌리
www.naturei.net 2008-08-26 [ 유걸 ]


주요 중독증상으로는 두드러기, 구토, 설사 등이다.

심할 경우 맥박이 약해지고 혈압이 이상적으로 낮아져 심장마비에 이를 수도 있다.

그러나 투구꽃과 같은 맹독성에는 미치지 못한다.

때문에 병이나 체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있는 어린아이나 노인의 경우라면 몰라도 어른이라면 대량으로 먹지 않는 이상 죽음에 이르지는 않는다.

그러나 주변에서 쉽게 접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그 취급상의 주의점은 잘 알아둘 필요가 있다.

농사활용
자연농업에서는 가을에 자리공 뿌리를 채취해 충방제 또는 충기피제로 활용한다.

뿌리를 잘게 썰거나 으깨어 현미식초나 목초액, 주정 등에 무게대비 1/10정도 분량을 넣고 3개월 이상 숙성을 시켜 100~500배로 희석해 활용한다.

즉각적인 효과는 없으나 3~5일 정도 지나면 대부분의 충에서 효과가 나타난다.

유걸 기자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화 - 지리산야생화  (0) 2012.01.06
산야초 - 지리산야생화  (0) 2012.01.06
산야초 - 짚신나물  (0) 2012.01.06
충기피식물 - 아주까리  (0) 2012.01.06
충기피식물 - 담배  (0) 201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