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녹두의 개화 및 성숙특성 | |||||||||||||||||||||||||||||||||||||||
녹두 장려품종의 파종기별 개화 및 성숙의 생태적 특성을 보면 파종에서 개화시까지의 일수가 5월 5일 파종시는 61~65일이나 7월 20일 파종시는 40~42일로 크게 단축된다. 또한 개화기간도 5월 5일 파종시 68~71일이나 7월 20일 파종시 18~20일로 단축된다. 한편 개화시에서 성숙시까지의 일수(결실일수)는 5월 5일 파종시 23일이나 7월 20일 파종시는 30~32일로 오히려 연장되는데 이는 개화가 늦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서 등숙속도가 느리게 진행되는데 기인한다. 유효 개화한계기는 파종기에 관계없이 9월 4~8일이었다. | |||||||||||||||||||||||||||||||||||||||
표 1. 녹두품종의 파종기별 개화 및 성숙의 생태적 특성 (작시 : 1986) | |||||||||||||||||||||||||||||||||||||||
| |||||||||||||||||||||||||||||||||||||||
녹두의 파종기 및 품종별 개화성기를 보면 5월 5일 파종시 선화녹두는 개화시이후 11~20일과 31~45일의 2회에 걸쳐 개화성기가 있으며, 방아사는 개화시 이후 11~20일과 31~40일의 2회에 걸쳐 개화성기가 있다. 5월 30일 파종시는 선화녹두는 개화시 이후 6~10일과 31~35일의 2회에 걸쳐 개화성기가 있고 방아사는 개화시 이후 16~30일과 41~45일의 2회에 걸쳐 개화성기가 있다. 6월 25일 파종시는 선화녹두는 개화시 이후 6~10일에, 방아사는 개화시 이후 11~15일에 개화성기가 있으며, 7월 20일 파종시는 선화녹두는 개화시 이후 11~15일에 방아사는 6~10일에 개화성기가 있다. 따라서 개화성기 면에서 볼 때 수확시기를 잘 맞추면 녹두를 1~2회 수확하더라도 수량이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 |||||||||||||||||||||||||||||||||||||||
표 2. 녹두품종의 개화기간에 따른 개체당 개화수 (작시 : 1986) | |||||||||||||||||||||||||||||||||||||||
| |||||||||||||||||||||||||||||||||||||||
| |||||||||||||||||||||||||||||||||||||||
파종기별 성숙협이 가장 많았던 개화시기를 보면 5월 5일 파종시는 선화녹두와 방아사 공히 개화시 이후 31~35일 이었으며, 5월 30일 파종시는 선화녹두는 개화시 이후 6~10일 이었고, 방아사는 개화시 이후 21~25일이었으며 6월 25일과 7월 20일 파종시는 선화녹두는 개화시 이후 6~10일, 방아사는 6월 25일 파종시는 개화시 이후 11~15일이었으며, 7월 20일 파종시는 개화시 이후 6~10일이었다. | |||||||||||||||||||||||||||||||||||||||
표 3. 녹두품종의 개화시기에 따른 성숙협수 (작시 : 1986) | |||||||||||||||||||||||||||||||||||||||
| |||||||||||||||||||||||||||||||||||||||
| |||||||||||||||||||||||||||||||||||||||
주) *는 표 2의 꽃수 3개중 2.1개의 협이 성숙된 것을 나타냄. | |||||||||||||||||||||||||||||||||||||||
2. 녹두의 노력절감 수확방법 | |||||||||||||||||||||||||||||||||||||||
가. 평야지 | |||||||||||||||||||||||||||||||||||||||
평야지에서 녹두 수확 방법별 생육, 수량 및 소요노력을 보면 평야지에서 선화녹두를 6월 25일 파종하면 8월 7일에 개화하기 시작하여 8월 22일에 성숙되기 시작한다. 개체당협수는 성숙시후 15일 간격으로 3회 수확시 가장 많았고 성숙시후 35일에 1회 수확시 가장 적었다. 수량은 성숙시 후 15일 간격으로 3회 수확시 가장 많은 136㎏이었으며 성숙시후 20일 간격으로 2회 수확시는 131㎏으로서 양 수확 방법은 성숙시후 10일 간격으로 4회 수확시의 수량 127㎏에 비하여 많은 편이다. 또한 소요노력 면에서 보면 성숙시 후 10일 간격으로 4회 수확하면 10a당 56시간이 소요되나 성숙시 후 15일 간격으로 3회 수확시는 51.6시간, 성숙시 후 20일 간격으로 2회 수확하면 47.7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수량과 소요노력을 동시 고려해 보면 평야지에서는 성숙시 후 20일 간격으로 2회 수확하는 것이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수확방법이라고 하겠다. | |||||||||||||||||||||||||||||||||||||||
표 4. 평야지에서 녹두 수확방법별 생육, 수량 및 소요노력 (충북도원 : 1983) | |||||||||||||||||||||||||||||||||||||||
| |||||||||||||||||||||||||||||||||||||||
주) 품종 : 선화녹두, 파종기 : 6월 25일. | |||||||||||||||||||||||||||||||||||||||
나. 개간지 | |||||||||||||||||||||||||||||||||||||||
한편 개간지토양에서 6월 18일에 선화녹두를 파종하였을 때 개화시는 7월 28일에 도달하여 8월 14일에 성숙되기 시작하였고, 개체당 협수는 성숙시 후 10일 부터 10일 간격 3회 수확시 12.7개로 가장 많았다. 수량은 성숙시후 10일부터 10일 간격 3회 수확시 155㎏으로 가장 많았으며, 성숙시 후 15일과 25일에 2회 수확시 146㎏, 성숙시후 20일에 1회 수확시 140㎏, 성숙시 후 30일에 1회 수확시 111㎏의 순으로 수확을 자주 할수록 수량이 많았다. 그러나 소득면에서는 성숙시후 20일에 1회 수확시 103천원으로 성숙시후 10일 부터 10일간격 3회 수확시 102천원에 비하여 약간 높았다. 따라서 소득면에서 볼 때 개간지에서는 성숙시후 20일에 1회 수확하는 것이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수확방법이라고 하겠다. | |||||||||||||||||||||||||||||||||||||||
표 5. 개간지에서의 녹두 수확 방법별 생육 및 수량 (전북도원 : 1983) | |||||||||||||||||||||||||||||||||||||||
| |||||||||||||||||||||||||||||||||||||||
주) 품종 : 선화녹두, 파종기 : 6월18일 |
'오작교청자3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작교농장 청자 3호서리태 골르기 (0) | 2015.02.13 |
---|---|
오작교농장 청자3호(서리태) 타작 (0) | 2014.10.14 |
오작교 녹두 가공 (0) | 2014.08.31 |
오작교 녹두 재배 (0) | 2014.08.31 |
오작교농장 녹두 란 (0) | 2014.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