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버섯 이야기(65): 깔때기버섯 | |||||||||||||||||||||||||
깔때기버섯은 혈전 방지작용, 항균작용, 항종양 작용을 가지고 있고 허리와 관절 통증 감소는 물론 방사능 물질 세시움을 제거하는 일에도 도움을 주는 버섯이다. | |||||||||||||||||||||||||
깔때기버섯은 혈액 속에서 응혈작용을 하는 효소인 트롬빈을 억제하여 혈전 방지 작용을 가지고 있다. 깔때기버섯은 혈액을 응고시키는 트롬빈 효소를 49%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져 앞으로 더 연구하여 혈액 응고와 좀 더 안전한 혈액응고 억제제(혈전 방지 약) 개발의 한 모델이 된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한방에서는 깔때기버섯의 효능으로 추풍산한(追風散寒), 서근활락(舒筋活絡)을 말하고 있고, 적응증으로 요퇴동통, 풍습증에 좋아 허리 및 관절 통증 감소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러시아 체르노빌에서 발생한 원전사고 뒤 노르웨이에서 연구한 바에 따르면 체르노빌에서 방출한 방사능 물질 세시움이 가축들에게서 발견된다고 한다. 그런데 혈기 왕성한 식물과 토양은 상당히 안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버섯의 경우는 어떠한가 연구하게 되었고 버섯은 주변 식물들 보다 그 세시움 수치가 10-150배나 더 높았고 특히 깔때기버섯은 주변 식물이나 토양보다 250배나 더 높은 세시움 수치를 보여주었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은 깔때기버섯류가 오염된 방사능 물질을 흡수 축적한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따라서 앞으로 깔때기버섯류는 지구 다시 살리기에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 참고문헌: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152-153쪽. 박완희, 이지헌 공저. 새로운 한국의 버섯, 서울: 교학사, 2011, 38쪽.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99-102. | |||||||||||||||||||||||||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2015-03-21 13:54:09] |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4월 27일 오작교농장 곰취의 자람 (0) | 2015.04.27 |
---|---|
오작교 산야초 야생화 - 전호 (0) | 2015.04.14 |
오작교산야초 - 지칭개 (0) | 2015.04.14 |
약용버섯 이야기 : 서구사회의 약용버섯 연구 실태 보고 (0) | 2015.04.14 |
오작교 산야초 겨우살이 - 산야초 즐기기 (0) | 201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