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의 매력과 가치를 극대화
□ 보다 많은 도시민들이 도시농업의 매력에 빠질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시급
○ 도시농업 확산의 가장 큰 걸림돌은 토지의 부족이므로 국유지,
유휴지 등 다양한 도시농업용 토지의 공급 방안을 강구
○ 도시 텃밭 주변의 환경오염을 관리하고 생산물의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관련 대책이 필요
○ 도시농업의 열풍에 걸맞은 도시농업 관련 법과 규정 마련이 필요
- 일본은 ‘90년 6월 「시민농원 정비촉진법」이 제정되어 농지 뿐
아니라 휴게시설을 포함한 전반적인 시민농원 정비가 가능
- 우리의 경우 현재 추진 중인 가칭 「도시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시급히 제정하는 것이 필요
□ 현대의 도시가 가지는 녹지부족, 환경오염, 사회적 소외 등의
문제해결에 도시농업을 적극적으로 활용
○ 인공적으로 조성된 녹지를 수동적으로 즐기는 것이 아니라
텃밭 가꾸기 등 도시환경개선에 시민들의 주체적 참여를 유도
○ 도시의 음식물 쓰레기와 낙엽을 퇴비화 하고 빗물을 모아 도시
농업에 활용하면 도시의 오염원 감소와 환경개선이 가능
○ 일자리가 필요한 극빈 노인층에게 시립 도시농원을 분양하여
노동의 즐거움과 소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 가능
- 할머니, 할아버지가 정성들여 키운 농산물이라는 이미지로
브랜드화 하여 도시민에게 판매하거나 소외층에 기부
빌트인 키친가든 채소 재배 매트 LED 채광 재배기
새로운 농업의 시장 창출
□ 세계적으로 도시농업의 확산에 따라 떠오르고 있는 시장을 농업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의 동력으로 활용
○ 도시농업용 재배 매뉴얼, 소포장 종자, 패션 농기구 등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상품개발이 필요
○ 새집증후군 등 실내의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각종 알러지, 호흡기
질환을 경감하는 환경정화용 식물(Eco-Plant) 연구개발의 강화
○ IT기술과 접목하여 개발된 스마트폰 식물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서비스 개발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
- QR 코드를 통한 식물정보 제공 서비스, 텃밭관리, 가상농장, 작물
추천, 병해충 정보 등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 다양한 실내 정원관련 아이디어 상품의 개발과 출시로 야외텃밭
없이도 도시농업이 가능한 새로운 시장 창출
○ 기존의 주방가구나 빌트인 가전제품과 결합하여 자동으로 빛과
수분공급이 가능한 빌트인 키친
○ 다양한 채소 종자를 매트화 하여 벽에 걸거나 바닥에 깔고 물만
주면 새싹과 샐러드 수확이 가능한 채소재배 매트
○ 태양열 충전이 가능한 LED 재배 등을 활용하여 상시적으로 채소
재배가 가능한 간편 재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