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산야초

담배풀(충기피식물)

오작교농장 2011. 8. 1. 09:22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잎을 천명정(天名精), 열매는 학슬(鶴蝨)이라고 하여 약용한다. 거담, 청열, 지혈, 해독, 살충 등의 효능이 있다. 특히 열매는 살충작용이 강하여 기생충으로 인한 배앓이 등에 사용한다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같은 담배풀속에 좀담배풀, 긴담배풀, 천일담배풀, 여우오줌, 애기담배풀 등이 있다. 숲 가장자리 또는 나무그늘 밑에서 자란다. 높이는 1m 정도에 많은 가지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식물 전체에 잔털이 있다. 고구마처럼 생긴 뿌리는 단단하다. 잎은 넓은 타원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으로, 줄기 아래쪽 잎은 담뱃잎처럼 크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고 잎자루도 없어진다. 잎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노란색 두상화가 자루 없이 잎겨드랑이에 이삭처럼 달린다
www.naturei.net 2010-06-29 [ 유걸 ]

꽃은 8~9월에 지름 6~8mm의 노란색 두상화가 자루 없이 잎겨드랑이에 이삭처럼 달린다. 두상화는 종 모양으로 자잘한 꽃이 빽빽이 박혀 있다. 포는 없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가 3.5mm이고 끝에 부리처럼 생긴 조그만 돌기가 있다. 이곳에서 점액이 분비되어 열매가 동물의 몸에 붙어 멀리 퍼져 나간다. 잎과 열매에 선점이 있어 독특한 냄새가 난다.

 

 

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 담배풀 전체 모습
www.naturei.net 2010-06-29 [ ]


재배 방법
담배풀은 8~9월에 꽃을 피우고 10~11월에 열매를 맺는다. 추위에 강한 편이다. 자생지가 주로 숲 가장자리나 나무그늘 밑이므로 햇빛이 드는 곳이나 반그늘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토양은 산성 또는 중성의 보수성이 있는 점토질이 적당하다. 번식은 씨앗으로 한다. 채종 후 바로 뿌리거나 이른 봄에 파종한다. 가볍게 덮어주되 흙이 마르지 않도록 한다. 적당한 크기로 자라면 본밭이나 화분에 옮겨 심는다. 화분에서 재배할 경우 바깥에서 겨울을 나도록 하고 분주 시기는 봄이 좋다.

 


 

긴담배풀
www.naturei.net 2010-06-29 [ 유걸 ]


약성 및 활용
이른 봄에 어린순은 데쳐서 나물을 무치거나 쌈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잎을 천명정(天名精), 열매는 학슬(鶴蝨)이라고 하여 약용한다. 잎은 여름철에 따서 그늘에 말리고, 열매는 가을에 햇볕에 말려 이용한다. 열매에는 카르페시아락톤(carpesia lactone), 카라브론(carabrone) 등의 lactone 성분과 카프로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의 글리세리드이고 세릴알코올, 스티그마스테롤, 파라핀 등이 함유되어 있다.

 

 

담배풀 열매는 햇볕에 말려 약으로 이용한다
www.naturei.net 2010-06-29 [ ]


거담(祛痰), 청열(淸熱), 지혈(止血), 해독, 살충 등의 효능이 있다. 벌레 물린데, 목의 통증에 잎을 생즙 내어 바르거나 마시면 효과가 좋다. 특히 열매는 살충작용이 강하여 회충, 촌충, 요충 등의 기생충으로 인한 배앓이 등에 사용한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담배풀에 대해서, ‘열매 달인액은 회충을 30분 만에 마비시키지만 죽이지는 못한다. 무좀균에 대하여 매우 센 살균작용이 있다. 카르페시아락톤은 중추, 즉 연수와 뇌간부에 대한 마비작용을 한다. 열매를 회충, 촌충 등의 벌레떼기약으로 쓴다.’고 기록하고 있다.

살충효과가 있기 때문에 친환경농업에서 식물전체를 생즙을 내거나 건조 후 열매와 함께 우리거나 달여 천연살충제로 활용하면 된다.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중(충기피식물)  (0) 2011.08.09
박새와 여로  (0) 2011.08.01
라벤더(충기피식물)  (0) 2011.07.27
삽주 꽃 봉우리   (0) 2011.07.27
차조기(충기피식물)  (0) 2011.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