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새와 여로는 독성이 강한 유독성식물이다. 토하게 하거나 살충한다. 봄철 박새나 여로의 새순을 산마늘이나 원추리, 비비추 등으로 혼동하여 나물로 해먹고 구토를 하거나 사망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 ||||||||||||||||||
박새와 여로는 백합과 여로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박새(Veratrum oxysepalum Turcz.)는 주로 깊은 산의 습지, 나무숲 밑의 그늘진 곳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굵다. 줄기는 곧추서며 1m 넘게 큰다. 속이 비어 있다. 길이 30㎝, 너비 20㎝ 내외의 넓은 달걀모양의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나란한 맥이 있고, 잎집이 줄기를 감싼다. 7~8월에 연노랑 꽃이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은 2.5㎝ 정도이며 단성화이다. 꽃잎과 수술은 6개씩이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3개로 갈라진다.
길이 20~35cm의 좁은 버들잎 모양의 잎이 서로 감싸서 나고, 위로 오를수록 점차 좁아져 선형이 된다. 줄기 밑부분은 흑갈색 섬유로 싸여 있다. 7∼8월에 자줏빛이 도는 갈색 꽃이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아래쪽에는 수꽃이, 위에는 양성화가 핀다. 지름 1cm 정도이다. 참여로, 파란여로, 긴잎여로, 흰여로 등의 여러 유사종이 있다.
분주는 거의 잘 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높은 산에서 자라는 식물이어서 여름철의 더위에 매우 약하므로 바람이 잘 통하는 반그늘진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박새의 경우는 특히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토질은 사질양토가 무난하며 부엽토를 충분히 넣어주도록 한다. 봄철 박새나 여로의 새순을 산마늘이나 원추리, 비비추 등으로 혼동하여 나물로 해먹고 구토를 하거나 사망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약재로 이용할 때는 가을에 뿌리를 캐어 줄기를 잘라내고 물에 씻어 햇볕에 말려 이용한다. 박새의 뿌리를 백여로근, 여로의 뿌리를 여로근 또는 흑여로근이라고 한다.
여로 뿌리에도 베라트린계 알칼로이드, 즉 네리딘, 루비예르빈, 푸세우도에르빈, 콜히친, 베라트리딘, 에르빈, 베라트로일지가데닌, 게르메린 등이 들어 있다. 폐경, 위경, 간경에 작용한다. 토하게 하거나 살충한다. 약리실험에서 강압작용이 밝혀졌다. 옴, 악창, 두창(頭瘡) 등에 외용약으로 쓰는데 가루내서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 파리, 구더기, 곤두벌레를 죽이는 구충약으로도 쓴다. 옛날에는 박새뿌리를 법제하여 중풍(中風)에 담이 성한 데, 전간, 가래가 있어 기침이 나고 숨이 찬 데, 후두염 등에 내복약으로 썼으나 지금은 주로 외용약으로만 쓴다.’고 한다.
그러나 요즘에는 파란 여로의 물 우림액을 유행성 간염과 만성 간염에 쓰고 있다. 혈압내림약으로도 쓴다. 독성이 강하므로 용량에 주의해야 한다.’고 적고 있다. 일본에서는 농업용 천연 살충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뿌리를 달이거나 물 또는 주정에 우려내어 활용한다.
|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수국 만수국(충기피식물) (0) | 2011.08.09 |
---|---|
관중(충기피식물) (0) | 2011.08.09 |
담배풀(충기피식물) (0) | 2011.08.01 |
라벤더(충기피식물) (0) | 2011.07.27 |
삽주 꽃 봉우리 (0) | 2011.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