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에 들어 있는 유독성분인 솔라닌(solanine)은 잎과 싹, 감자 껍질과 눈에 많다. 곤충이나 병원균, 포식자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만들어내는 성분이므로 살균, 살충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 ||||||||||||||||||||||||
감자(Solanum tuberosum L.)는 가지과의 한해살이풀로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의 고원지대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16세기에 유럽을 거쳐 인도, 중국에 전파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1824년과 1825년 사이에 관북에서 처음 들어왔다는 기록이 조선 후기 실학자 이규경의「오주연문장전산고」에 전한다. 김창환이 지은 「원저보」에는, 1832년 영국의 상선이 전라북도 해안에서 약 1개월간 머물고 있을 때, 배에 타고 있던 선교사가 씨감자를 나누어 주고 재배법을 가르쳐주어 보급시키게 된 내력이 기록되어 있다.
높이는 60∼100cm로, 땅속에 있는 줄기마디로부터 기는줄기가 나와 그 끝이 비대해져 우리가 먹는 덩이줄기를 형성한다. 덩이줄기의 오목하게 팬 눈 자국에서 싹이 돋아난다. 잎은 줄기의 각 마디에서 나오는데 대개 3∼4쌍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6월경에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기다란 꽃대가 나와 엷은 자주색 또는 흰색의 꽃이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은 지름 2∼3cm 정도이며 5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꽃이 진 뒤에 토마토 비슷한 작은 열매가 달린다.
봄 재배의 경우 싹이 서리피해를 받지 않도록 지역에 따라 2월 하순부터 4월 하순에 걸쳐 파종한다. 파종 며칠 전에 미리 씨감자를 하나 이상의 눈이 남도록 하여 무게가 25~30g정도가 되게 쪼갠다. 보통 큰 씨감자는 2~4등분하고 아주 작은 것은 그냥 심으면 된다. 쪼갠 후 3~4일 정도 그늘에서 보관해 절단면이 아물도록 한 후 심는 것이 좋다. 재가 있다면 절단면에 묻혀주는 것도 좋다. 지역에 따라서는 여름에 심어 가을에 수확하기도 한다. 파종 후 20~30일이 지나면 싹이 올라온다. 실한 감자를 얻으려면 2개 정도의 싹만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꽃이 필 때 꽃따주기를 해도 역시 감자가 굵어진다. 줄기와 잎이 시드는 하지 무렵 수확한다. 수확한 감자는 그늘에서 3일정도 말린 후 통풍이 잘 되는 박스에 담아 그늘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감자는 수분 70%, 전분(녹말) 13∼20%, 단백질 1.5∼2.6%, 환원당 0.2%, 회분 0.6∼1%로 이루어졌는데, 질소화합물의 절반을 차지하는 아미노산 중에는 밀가루보다 더 많은 필수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기(氣)를 보하고 비장과 위장을 튼튼하게 한다. 감자에는 독성이 센 솔라닌이 들어 있는데 소량에서는 강심작용, 소염작용, 조혈기능강화작용을 나타낸다. 위염, 위 및 십이지장궤양, 화상, 이하선염 등에 쓴다. 짓찧어 생즙을 내어 한번에 50ml씩 하루 2번 아침, 저녁 식전에 먹는다. 삶아 먹기도 한다. 외용약으로 쓸 때에는 생즙을 바르거나 생즙에 식초를 섞어서 바른다. 감자꽃과 감자싹에서는 글리코알칼로이드를 갈라내어 백혈구감소증을 예방 치료하는 데와 알레르기성질병, 류마티스성관절염에 쓴다. 즉 한번에 0.01~0.02g씩 하루 한번 먹거나 한번에 0.03g씩 하루걸러 한번 먹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덩이줄기에도 껍질과 눈에는 함량이 높다. 덩이줄기를 햇볕에 두면 푸르게 변하는데, 이는 솔라닌 함량이 높아졌다는 걸 의미한다. 이를 먹으면 독성이 있어 위장장해와 식중독을 일으키게 되므로 싹이 튼 감자는 싹 부분을 도려내고 먹거나 푸르게 변한 감자는 먹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연구에 의하면 체중 1kg당 3~6mg의 경우 치명적이라고 한다. 솔라닌은 다른 가지과 식물인 까마중이나 토마토 등에도 들어 있는데 곤충이나 병원균, 포식자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만들어내는 성분이므로 살균, 살충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솔라닌 자체는 물에 거의 녹지 않으나 솔라닌염산염(solanine hydrochloride)은 물에 잘 녹아 농업용 살충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 ||||||||||||||||||||||||
유걸 기자 |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기피식물 - 쇠비름 (0) | 2012.01.04 |
---|---|
충기피식물 - 약모밀 어성초 (0) | 2012.01.04 |
충기피식물 - 노간주나무 (0) | 2012.01.03 |
충기피식물-일일초 (0) | 2012.01.03 |
산야초 산나뭉 봄나물 올봄에는 이런나물을 (0) | 201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