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산야초

충기피식물 - 양파

오작교농장 2012. 1. 5. 09:35

 

양파는 주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이용한다. 맛이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수프를 비롯하여 카레라이스 및 각종 고기 요리에 사용한다

 

양파(Allium cepa L.)는 백합과 파속에 속하는 2년생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땅속 둥근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하는 채소의 하나이다.

원산지는 이란·파키스탄 및 그 북부 산악지역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기원전 3000년경의 이집트 벽화 속에 마늘과 함께 기록될 정도로 재배역사가 길며 지금은 거의 전 세계에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00년대 초에 처음으로 재배되기 시작했는데, 서양에서 들여온 것으로 파와 같은 향이 난다고 해서 양파라고 부르게 되었다.

 


수확한 마늘
www.naturei.net 2009-11-22 [ 유걸 ]


잎은 속이 비어 있는 원기둥모양이며 길이 30∼50㎝ 정도로 여러 개가 어긋나게 달린다.

꽃이 필 때 마르며 밑 부분은 두꺼운 비늘 조각으로 되어 있다.

땅속 비늘줄기는 납작한 둥근 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며 지름 10㎝ 정도로 겉에 자줏빛이 도는 얇은 갈색 껍질이 있고, 층층이 겹쳐진 안쪽 비늘은 두꺼우며 매운 맛이 난다.

여름에 길이 50∼100㎝의 굵은 꽃줄기가 뻗어 나와 그 끝에 흰색의 자잘한 꽃으로 이루어진 공모양의 꽃이삭이 달린다.

종자는 검은색이고 길이 2∼3㎜이다.

재배 방법
우리나라에서는 8∼9월에 모판에 파종하여 10월에 어린모를 밭에 정식하고, 다음해 6월 무렵에 수확하는 가을뿌림재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조생종이거나 추위가 빨리 오는 내륙지방일수록 파종을 빨리하는데 너무 빠르면 생육이 지나쳐 분구 및 꽃대 발생이 많아진다.

남부지방을 기준하면 9월 초순에 씨를 뿌리는 것이 적당하다.

0.5cm 두께로 흙을 덮어주고 짚으로 멀칭한 후 가는물뿌리개를 이용해 씨앗이 드러나거나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여러 번에 걸쳐 나누어 물을 준다.

싹이 틀 때까지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5~7일 후 싹이 돋아나서 1cm정도 되었을 때 짚을 걷어준다.

 


양파 꽃줄기와 흰색의 꽃이삭
www.naturei.net 2009-11-22 [ wikimedia.org ]


아주심는 시기는, 어린뿌리가 생장할 수 있는 최저온도가 4℃이므로 그 지방의 평균기온이 4℃로 내려가기 25~30일 전이 적당하다.

모의 키가 25~30cm에 잎수가 4매정도인 것을 15cm 간격으로 3cm정도 깊이로 얕게 심는다.

아주심기 전 두둑을 만들어 비닐멀칭을 해주면 지온이 높아지고 토양수분이 보존되기 때문에 뿌리내림이 빨라지고 생육이 촉진되어 수량이 많아진다. 양파는 비료를 많이 요구하는 작물의 하나이다.

또한 산성토양에서는 생육 및 비늘줄기의 커짐이 매우 불량하므로 석회 등을 이용해 토양산도를 ph 6.3~7.3이 되도록 해준다.

잎이 쓰러져 마르기 시작하면 수확한다.

약성 및 활용
양파는 주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이용한다.

맛이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수프를 비롯하여 카레라이스 및 각종 고기 요리에 사용한다.

피클이나 샐러드로도 이용하는데, 샐러드로서 생식할 때에는 매운맛이 적고 색깔이 아름다운 적색계통의 양파를 주로 쓴다.

한방에서는 창상, 궤양, 부인질염, 고혈당, 당뇨병 등에 이용한다. 비타민이 풍부하여 비타민 결핍증에도 효험이 있다.

 



양파재배 모습
www.naturei.net 2009-11-22 [ wikimedia.org ]


생것에서 매우 자극적인 냄새와 매운맛이 강한 것은 이황화프로필알릴(Allyl propyl disulfide)과 황화알릴(Allyl sulfide) 등의 유황화합물 성분 때문이다.

이것들은 자극성이 있어 신경을 활발하게 하고 흥분시킨다.

또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해독 작용을 한다.

살균력이 매우 강하여 황색 포도상 구균, 디프테리아균 등을 죽이며 여성의 트리코모나스질염 치료에 사용된다.

황화알릴은 비타민 B1의 흡수를 높이며, 이황화프로필알릴은 혈당치를 낮추고, 양파의 노란색 색소인 퀘르세틴(quercetin)은 항산화 및 고혈압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친환경농업에서는 천연 살균제나 충기피제로서 마늘의 사용방법에 준하여 간단히 생즙을 내거나 주정 또는 물에 우려내어 사용하면 된다.

유걸 기자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기피식물 - 편백나무  (0) 2012.01.05
충기피식물 - 마늘  (0) 2012.01.05
충기피식물 - 매운고추  (0) 2012.01.05
산야초 - 모과  (0) 2012.01.04
충기피식물 - 쇠비름  (0) 2012.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