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산야초

반하(충기피식물)

오작교농장 2011. 7. 23. 21:56

 

예로부터 게우는 것을 멈추는 약으로 중요하게 써왔다.

그리하여 구역질과 토하는 것을 멈추는 약, 진정약, 가래삭임약으로 쓴다.

생강과 같이 쓰면 부작용도 적고 치료 효과도 높다

 

반하(Pinellia ternata)는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부 이남의 밭이나 야산에 자생하며 일본 및 만주 등지에도 분포한다. 높이 15~30cm 정도로 한 두 개의 잎이 땅속 덩이줄기에서 자라나온다.

덩이줄기는 공 모양이며 지름 1cm 정도이다. 잎은 자루가 길고 3개의 쪽잎으로 되어 있다.

쪽잎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 아랫부분에 주아(珠芽)가 달려서는 떨어져 새로운 개체로 성장한다.

 


높이 15~30cm 정도로 한 두 개의 잎이 땅속 덩이줄기에서 자라나온다
www.naturei.net 2010-07-30 [ 유걸 ]


개화기는 5~7월로 길이 6∼7cm 정도의 원통형 녹색 포를 가진 꽃줄기가 잎보다 길게 자라나온다.

포 안쪽에는 노란빛을 띤 흰색의 꽃이 꽃차례에 빽빽이 달린다.

위에는 수꽃이 밑에는 암꽃이 달리며, 꽃차례 끝은 휘어져 포 바깥으로 길게 자란다.

8~9월에 달걀 모양의 열매가 녹색으로 익는다.

여름이 한창일 때 꽃이 시든다고 해서 한자로 '반하(半夏)'라고 부른다.

끼무릇·소천남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는 반하와 대반하 2종이 있다.

 


잎은 자루가 길고 3개의 쪽잎으로 되어 있다
www.naturei.net 2010-07-30 [ 유걸 ]


재배 방법
번식과 생장이 잘 돼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햇볕이 드는 곳에서 재배하되 중북부지방에서는 겨울동안 짚이나 부엽토로 피복을 하여 동해를 방지하고, 남부지방은 여름 고온기에 반그늘을 해주는 것이 좋다. 번식은 덩이줄기로 한다.

봄에는 3월중ㆍ하순경, 가을에는 10월 상순이 파종적기인데 지역에 따라 서리피해나 동해를 입지 않도록 파종기를 조절한다.

심는 간격은 골과 골 사이는 10~30㎝, 덩이줄기 사이는 5~10㎝, 깊이는 5㎝ 정도로 하여 심는다.

정식 후에 짚을 덮어주어 토양수분을 보존하고 토양온도를 높여 주면 발아가 빨라진다.

2년 후부터 수확이 가능하다. 6월 말 지나 잎이 누렇게 마르면 수확한다.

땅속에 있는 덩이줄기를 캐서 8~9㎜체를 이용하여 큰 것은 약제로 쓰고 작은 것은 종구로 이용하는데, 종구를 밭에 두는 방법과 모아서 얼지 않게 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하는 방법이 있다.

 


5~7월에 원통형 녹색 포를 가진 꽃줄기가 잎보다 길게 자라나온다(위:수꽃, 아래:암꽃)
www.naturei.net 2010-07-30 [ 유걸 ]

약성 및 활용
약재로 이용하고자 할 때는 덩이줄기를 캐어 흙을 깨끗이 씻고 껍질을 벗긴 후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에 쬐어 말린다.
덩이줄기에는 ‘에테르엑스 약 1%, 정유 0.003~0.013%, β-시토스테롤과 그 배당체, 콜린(choline,0.015%), 트리테르펜 화합물, 글루쿠론산과 그 유도체, 아스파라긴산, 아르기닌, 리진, 오르니틴, 세린, 글리신, 알라닌, 시트롤린, β-아미노버터산, 물에 물리는 배당체, 포도당, 람노오스가 있다. 또한 기름, 회분 1.9%(마그네슘 약 49%, 칼슘 약 15%), 프로토아네모닌과 비슷한 점막자극물질, 휘발성 알칼로이드, 0.002%의 에페드린(ephedrin)’ 성분이 들어 있다.

 


덩이줄기는 공 모양이며 지름 1cm 정도이다
www.naturei.net 2010-07-30 [ ]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예로부터 게우는 것을 멈추는 약으로 중요하게 써왔다.

그리하여 구역질과 토하는 것을 멈추는 약, 진정약, 가래삭임약으로 위 안에 물이 고여서 오는 메스꺼움(위내정수), 임신 게우기, 중추성 게우기, 요독증성 게우기, 기침, 어지럼증, 머리아픔, 가슴활랑거림, 급성 위염, 목구멍이 곪아서 아픈 데, 잠을 이루지 못할 때에 쓴다.

생강과 같이 쓰면 부작용도 적고 치료 효과도 높다.

 민간에서는 신선한 덩이줄기와 생강을 짓찧어 즙을 탈모증에 바른다.’고 적고 있다.

반하는 유독성식물로서 친환경농업에서는 같은 과의 독초인 천남성의 사용에 준하여 생즙을 내거나 알코올(주정)에 우려내어 천연농약으로 활용한다.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리쟁이(충기피식물)  (0) 2011.07.25
파리풀(충기피식물)  (0) 2011.07.24
오동나무(충기피식물)  (0) 2011.07.23
가래나무와 호두나무  (0) 2011.07.16
봉선화  (0) 2011.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