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산야초

충기피식물 - 팥꽃나무

오작교농장 2012. 11. 4. 18:00

 

팥꽃나무는 유독성식물로 나무 전체에 독성이 있으며 뿌리와 꽃에 특히 독성이 많다.

한방에서는 꽃을 원화(芫花)라 하여 약재로 이용한다.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담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팥꽃나무(Daphne genkwa Siebold & Zucc.)는 전라도와 충청남도의 바닷가 근처에 자라는 1m 내외의 낙엽관목이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가지는 검은 갈색이며 누운 부드러운 털이 나 있다.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인 잎은 마주나지만 간혹 어긋나게 달리기도 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약간 각질이며 뒷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자루는 짧고 털이 빽빽하게 덮여있다.


3∼5월에 연자주색 꽃이 가지를 덮을 정도로 많이 핀다
www.naturei.net 2012-10-30 [ 유걸 ]


3∼5월에 연자주색 꽃이 가지를 덮을 정도로 많이 핀다.

짧은 꽃대에 3∼7개의 봉오리가 뭉쳐 달리며 꽃받침은 통처럼 생기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끝이 4개로 갈라져서 꽃잎같이 된다.

지름 10∼12mm이다. 수술은 4∼8개가 꽃받침통에 2줄로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서 둥글고 흰색이며 7월에 익는다.

재배 방법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나 추위에 강해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햇볕이 드는 푸석푸석한 사질양토가 좋다.

건조하고 척박한 토양에서 자란 것이 꽃색도 좋고 수명도 길다.

습한 걸 싫어하므로 건조하게 관리한다. 번식은 씨앗이나 뿌리나누기, 꺾꽂이로 한다.

 


 

잎은 타원형으로 마주나지만 간혹 어긋나게 달리기도 한다
www.naturei.net 2012-10-30 [ 유걸 ]


씨앗의 경우 6-7월경에 종자를 채취하여 직파한다.

약 한달 남짓이면 발아한다.

뿌리나누기의 경우 뿌리를 캐어 10cm 내외로 잘라 심는데 뿌리에서 맹아가 생겨 싹이 자란다.

봄보다는 6월에 하는 것이 좋다.

여러 개의 싹이 돋을 경우 실한 것 하나만 남기고 따버려야 성장이 빠르다.

꺾꽂이의 경우 여름철이나 봄에 하는데 발근율이 높지는 않다.

약성 및 활용
팥꽃나무는 유독성식물로 나무 전체에 독성이 있으며 뿌리와 꽃에 특히 독성이 많다.

꽃에는 겐크와닌(genkwanin), hydroxygenkwanin, 아피게닌(apigenin), 시토스테롤(sitosterol)이 들어있다. 그 외에도 벤조익산(benzoic acid)과 자극성의 정유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꽃받침은 통처럼 생기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끝이 4개로 갈라져서 꽃잎같이 된다
www.naturei.net 2012-10-30 [ 유걸 ]


한방에서는 꽃을 원화(芫花)라 하여 약재로 이용한다.

봄에 꽃봉오리가 벌어지기 전에 채집하여 햇볕에 말린다.

「중약대사전」의하면,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고 독이 있다.

페(肺)와 비경(脾經)에 들어간다.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담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담음벽적(痰飮癖積), 천식과 해수, 수종(水腫), 옆구리통증(脇痛), 식중독, 종기와 부스럼을 치료한다.”

원화의 효능은 대극이나 감수와 비슷하며 신체 상부에 쌓인 수습(水濕)을 제거하는 효과가 크다.

때문에 가슴이나 옆구리의 담 또는 수종같은 질병을 치료하고, 기가 위로 치솟아 기침이 나는 증상과 소변과 대변이 잘 통하지 않는 증상에도 유효하다.

뿌리는 원화근(芫花根)이라 하며, 역시 수종, 결핵성경부림프선염, 급성유선염, 옴, 치루(痔漏)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한다.

원화는 독성이 강하여 가공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과량으로 복용할 경우 극심한 설사와 복통이 수반된다. 원기가 허약한 사람이나 임산부는 조심해서 써야한다.

감초와 같이 사용하면 수분을 배출하는 작용은 약화되나 반대로 독성은 증가하므로 같이 쓰지 않는다.

팥꽃나무는 또한 살충효과가 있다.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있고 뿌리혹선충류 및 응애류, 곤충병원성 선충 등의 방제에 뚜렷한 효과가 있다.

전초 및 꽃, 뿌리 등을 다리거나 우려내어 사용한다.

유걸 기자
[2012-10-30 15:04:02]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급버섯  (0) 2012.11.28
충기피식물 - 치자나무  (0) 2012.11.12
충기피식물 - 쇠뜨기  (0) 2012.11.04
충기피식물 - 산초나무  (0) 2012.11.04
손녀와 꽃  (0) 201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