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가로수나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는데 독성으로 인하여 ‘죽음의 울타리’라고 불리기도 했었다. 식물 전체에 독성이 있으나 한방에서는 가지, 잎, 꽃을 강심제 이뇨제로 활용한다 | ||||||||||||||||
협죽도(Nerium oleander L.)는 협죽도과의 늘푸른 떨기나무로 인도와 페르시아 지방이 원산지이다.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 지역에서 가로수 및 정원수 등으로 심고 있다. 잎이 버드나무 모양이고 꽃이 복숭아꽃과 비슷하여 유도화(柳桃花)라고도 부른다. 밑에서 줄기가 포기를 이루어 큰다. 수피는 검은 갈색이다. 잎은 3개씩 돌려난다. 가는 피침형으로 두껍고 양면에 털이 없다. 가장가리는 밋밋하다.
늘푸른 떨기나무로 남부지방에서 가로수나 정원수로 심고 있다.
꽃은 7∼8월에 피지만 가을까지 계속된다. 품종에 따라 홍색·백색·자홍색 및 황백색이 있고 겹꽃도 있다. 대체로 꽃은 지름 3∼4cm로서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꼬인 형태로 일부가 겹쳐진다.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골돌(蓇葖)로 여러 개의 씨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길이 10cm로 익으면 세로로 벌어진다. 종자에는 연갈색 털이 빽빽하다.
재배 방법 협죽도는 햇볕이 많이 드는 양지에서 잘 자란다. 공해와 염분에도 강하다. 생장속도가 빠르다. 다만 추위에 약해 기후가 따뜻한 남부지역에서만 실외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중부지방에서는 하우스나 실내에서 길러야 한다. 번식은 주로 꺾꽂이로 한다. 심기 전 자른 가지를 물에 꽂아 놓으면 발근율이 높아진다. 이식의 경우 포기가 커지므로 면적을 넓게 잡아 심는 것이 좋다. 너무 크게 자랄 때는 줄기를 뿌리 쪽에서부터 짧게 잘라 새로 줄기를 낸다.
약성 및 활용 협죽도의 꽃은 고대 그리스와 이탈리아에서 장례식에 이용되었으며 인도에서는 부처님 앞에 올리거나 혹은 죽은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꽃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주로 가로수나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는데 독성으로 인하여 ‘죽음의 울타리’라고 불리기도 했었다. 식물 전체에 독성이 있으나 한방에서는 가지, 잎, 꽃을 강심제 이뇨제로 활용한다. 담을 삭이고 천식을 멎게 하며 진통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심부전, 천식해수, 전간, 타박상으로 인한 부종 및 동통, 폐경을 치료한다.”고 한다.
줄기를 잘라보면 하얀 액이 나오는데 피부의 상처에 직접 닿아 흡수되면 위험하다. 야외에서 나무젓가락이나 음식 꽂이용으로 이용하였다가 사망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정도로 독성이 강하다. 신선한 나무껍질이 잎보다 독성이 강하고, 마른 후에는 독성이 약해진다. 잎의 독성분은 개화기에 제일 많고 묵은 것이 어린잎보다 많다. 그 외에 네리안틴(neriantin), 아디네린(adynerin), 디기톡시게닌(digitoxigenin), 기톡시게닌(gitoxigenin), 우자라게닌(uzarigenin) 등이 들어 있다. 주요 중독증상으로는 설사, 구토, 현기증, 복통, 식은 땀 등이다. 심할 경우 맥박이 어지러워지고 결국에는 심장마비를 일으켜 죽음에 이르게 된다. 동물에 대한 치사량은 체중 1kg당 0.30mg이라고 알려져 있고 이는 무게 60kg을 기준했을 때 18mg이 된다. 생즙을 내거나 물에 달이거나 알코올에 우려내어 사용한다. 태워도 독성이 나오므로 하우스 안에서 훈증제로 이용해도 된다. | ||||||||||||||||
유걸 기자 |
'오작교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기피식물 - 제충국 (0) | 2013.03.17 |
---|---|
충기피식물 - 생강나무 (0) | 2013.02.24 |
충기피식물 - 개오동,노나무 (0) | 2013.01.19 |
층기피식물 - 피라칸다 (0) | 2013.01.09 |
매서운 한파 전통약호로 이겨네세요 (0) | 201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