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마늘고추

오작교마늘 주아 재배 기술

오작교농장 2013. 6. 9. 22:39


마늘 수량 증대와 종구비 절감의 지름길...? 바로 주아재배로부터...!

 

 

마늘과 같이 영양번식을 통해 재배되는 작물은 씨마늘에 누적 감염된 바이러
스로 인해 생육이 해마다 조금씩 나빠지게 된다. 농가에서 좋은 씨마늘을 선별해
서 심는다하더라도 생육기간 중에 각종 해충에 의해 마늘 잎이나 줄기로 옮겨진
바이러스는 결국 인편에까지 도달해 남게 되고, 이러한 인편을 다시 씨마늘로 반
116 농촌진흥청 사이버 농업기술 교육 마늘
복해 사용하게 되면 최초 100이라는 수량이 해마다 5정도씩 감소하게 되어 많을
경우 약 25% 이상 까지 수량감소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수량감소를 막을 수 있는 재배법으로 주아재배가 권장되는데, 이번 차시에서는
이러한 마늘의 주아 재배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주아의 특성
마늘은 경영비의 약 30∼40%를 종묘비(種苗費)가 차지하고 있어 해마다 가격
변동에 의해 소득이 불안정한 실정이다.
마늘이 추대하면 꽃줄기(花莖)의 윗부분에 있는 총포(總苞)내에 주아가 형성된
다. 주아는 형태상 마늘쪽과 같으며 공중에서 생육하기 때문에 각종 병 및 바이러
스 감염이 인편보다 훨씬 낮고, 조직이 치밀하여 저장력이 강하여 증체율이 높으
며(20∼70배), 1총포당 8∼30개의 주아가 있어 증식률이 인편보다 배 정도 높다.
마늘은 추대 방식에 따라 완전추대, 불완전추대, 불추대종으로 구분되는데, 우
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마늘은 대부분 완전추대종으로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꽃은 퇴화 되고, 주아만 남는데, 총포당 주아수는 품종에 따라서 3∼4개부터 100∼
200개 까지 다양하다(표 1).
<표 1> 마늘 품종별 주아수 및 특성

 품종별  생태현  숙기  주아수  휴면성
 의성종  한지형  중만생  12~15  강
 서산종  한지형  중만생  12~15  강
 단양종  한지형  중만생  12~15  강
 남도마늘  난지형  조생  30~40  약
 신강마늘  낭지헝  극조생  150~180  강

<표 1> 마늘의 품종별 주아수 및 특성

주아는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 등급으로 구분이 가능한데 크기별로 재식거리
를 달리하여 파종하는 것이 생육이 균일하고 관리가 용이하다. 주아의 파종기는
보통마늘의 파종기와 같으나 일찍 심으면 생육이 양호하고 구(球)의 크기가 증가
된다. 파종 후 건조의 피해를 방지하고 겨울에 동해(冬害)를 방지하기 위하여 짚
을 덮어 준다. 특히 중부내륙 지방에서는 겨울에 동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실제로 경북 예천지방의 “상리마늘”, 강원도 평창지역의 “대관령마늘” 등은 마
늘재배 농가에서 수십 년 동안 주아재배를 계속하여 우수한 계통을 선발해 온 결
과 우량종으로 발전된 것이며 식물체의 바이러스 이병정도가 매우 낮아서 조직배
양을 통하여 육성된 바이러스 무병종구와 대등한 수량성을 나타내므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영농설계를 한다면 반드시 주아재배법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2. 주아재배의 효과
◦ 마늘 주아를 이용하여 우량 씨마늘을 자가 생산할 경우 총생산비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 씨마늘 생산비용을 70%정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
이다.
◦ 대부분의 씨마늘은 병해충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어서 수량이 답보 상
태에 있고, 품질이 떨어지나, 주아재배로 씨마늘을 생산하면 단위면적당
수량이 많아지고, 상품성이 높은 마늘을 생산할 수 있다.
◦ 종자 조제 중 쪽(인편) 분리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10a당 노동투하시간
중 한지형마늘은 39.3시간(18.1%)과 난지형 마늘은 25시간(14%)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림 1> 일반마늘과 주아 종구비절감비교  <그림 2> 주아와 일반종구의 수량 비교

◦ 일반재배에 비하여 종구생산포의 관리면적 감소 및 정밀관리가 가능하다.
10a당 일반재배의 경우 150∼200㎡가 종구 생산포로 관리되는데 비하여 주아
재배의 경우는 50∼100㎡정도만이 필요하며, 재배관리에 재배계통, 시비, 관수,
피복물관리 등을 정밀히 하여 우량한 씨마늘을 생산할 수 있다.

<표 2> 주아 유래 인편의 세대별 수량성(수원)

 종구종류  수확주  구중  증체율  구당인편수  구당주아수  수량  지수
 주아재배1년생  85.6  46.4  11.6  8.3  14  1.489  116
 주아재배1년통  85.4  52.0  13.0  9.0  13  1.665  129
 주아재배2년생  85.6  48.2  12.1  8.4  12.8  1.547  120
 주아재배3년생  86.2  40.3  10.1  8.1  13.9  1.303  101
 관행재배  85.6  40.1  10.1  8.2  13.6  1.287  100

 

◦ 주아재배의 연차별 수량성 : 주아재배 1년차에서 생산되는 마늘은 분구마
늘, 통마늘(단구), 주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주아재배 1년생 인편이나 통
마늘을 사용하면 수량이 16∼29%정도 증수되고, 2년차 생산된 인편을 이
용해 재배하면 20%정도의 증수율을 보이나 3년차 생산된 인편은 증수효과
가 미미하여 주아 재배로 생산된 마늘은 2년간 종구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주아재배 1년차 통마늘에서 생산되는 마늘의 인편 크기는 1∼7g까지 다양하나
대부분 정상적으로 인편분화가 되고 추대하여 주당 평균 7.3개의 인편과 10.7개
의 주아를 생산할 수 있으며(표 3), 주아재배 2년차 종구로 사용할 때에 구중이
30g이상 되는 우량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3g이상 되는 인편이나 통마늘을 사용
하고, 2g 미만의 작은 인편은 종구재배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표 51). 주아재
배 1년차에서 생산된 주아를 이용할 경우 1주당 1.4개의 인편을 확보할 수 있어
수확주율이 인편에서 생산된 주아보다 월등히 높다.
◦ 식물학적으로 인편보다 양분저장능력이 상위이다. 인편보다 주아가 조직
이 치밀하고 알린 함량도 높다.

 

 

3. 주아이용 우량종구 생산체계
주아재배 방법에는 일반주아재배법(점뿌림, 줄뿌림, 흩어뿌림)과 총포심기, 모
아심기 등이 있는데 기존의 일반 주아 재배법은 제초, 유인관리 등에 많은 문제
점이 있어 보급이 저조했으나, 이후 개발된 총포심기나 모아심기로 할 경우 실용
적 재배가 가능하다.

 

<그림 3> 주아이용 우량종구 생산체계와 모식도(10a 기준)

4. 주아재배기술
가. 총포심기
(1) 1년차 재배
주아채취 → 파 종 → 통마늘 생산
일반 주아 재배시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주아가 들어
있는 총포를 분리 파쇄하지 않고 1개의 총포를 일반재배의 1개의 인편으로 간주
하여 점파하는 방법이다.


                            <그림 4> 총포이용 통마늘 대량생산 요령

(가) 주아 채취 및 보관
◦ 좋은 씨마늘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생육이 좋고 병해충 피해가 없는 건전 포
기에서 채취하고, 종의 길이가 길수록 좋은 데 길이가 20cm이면 13%, 30cm이
면 16% 증수되므로 마늘을 수확하기 전이나 수확 후 간이저장 중에 가급적
길게 잘라 매달아서 충분히 후숙시킨 다음 화경의 기부를 잘라 총포 상태로
망사 등에 담아 통풍이 잘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해 두었다가 사용한다.
◦ 주아 채취 시기는 한지형의 경우 주아통(총포)이 출현하여 20일부터는 충실
한 주아를 얻을수 있으며 그 시기는 수확 전 5일 정도 시기이다. 일찍 수확하
면 주아재배에 부적합한 주아의 비율이 높아 비경제적이다. 난지형(남도종)
의 경우는 5월 상순에 따버리는 주아도 밭, 창고, 노변 등지에서 5∼6월 동
안 후숙시킨 후 주아재배에 사용하면 수확기에 채취하는 주아와 3g 이상 되
는 종구생산비율은 비슷하므로 버리지 말고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 채취 후 충분히 건조하여 보관하고 보관 중에 벌레의 피해를 받으면 부패의
원인이 되므로 보관 중에 디메토 유제 1000배액을 2회 정도 뿌려서 피해를
막는다.

 

 


 

(나) 파종 준비
파종에 앞서 총포에 붙어 있는 화경(종대)을 가위로 짧게 잘라 제거하고, 총포
껍질을 벗겨주어 흙 입자가 파종주아 사이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어야 발아율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 파종 전 처리
◦ 파종 전에 저온처리나 인산칼리용액에 침지하면 인편 분화를 촉진시켜 씨
마늘로 활용 가능한 인편수 및 구중이 증가한다.
◦ 저온처리는 0.4g 이상의 주아를 5℃에서 30일간 처리하면 단구(통마늘)율
이 낮아지나(인편분화수 증가), 구 비대는 촉진된다.
◦ 인산칼리(K3PO4)용액 처리는 0.4g 이상의 주아를 인산칼리(K3PO4) 24배액
(물 1ℓ당 42g)에 10℃ 암흑상태에서 7일간 침지하면 구중과 우량구 형성율
이 높아져 수량은 23% 증가되고, 종구 활용 가능 인편수는 7% 정도 증가된
다(그림 6).
1
(라) 씨마늘 소독
파종 48시간(2일)전에 미지근한(20℃) 물에 담가 두었다가 저녁에 다시 건져
물기를 제거한 다음 파종 1일전 벤레이트-티 수화제 500배액+스타렉스 수화제
(또는 디메토 유제) 1,000배액에 1시간동안 침지소독 후 그늘에서 말린다. 종구
소독방법은 일반마늘재배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 공시품종 : 단양마늘
건 조 : 다목적건조기(40℃) 48시간(수분함량 65%)
소 독 : 디메토 유제 1000배액+벤레이트티 500배액 1시간 침지후 건조
<그림 7> 주아의 건조 및 소독 효과 (충북)

(마) 파 종
◦ 파종시기 : 주아도 인편과 마찬가지로 일정기간동안 휴면을 하기 때문에 휴
면이 완전히 타파되기 전에 파종을 하게 되면 고온장해 등의 스트레스를 받
아 맹아율도 낮아지며, 반대로 너무 늦게 파종하면 월동 전에 뿌리가 충분히
신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출현율이 낮아지고 생육 및 구비대가 불량해지므로
일반인편 재배보다 7∼10일 정도 일찍 파종하는 것이 적당하다

(난지형 : 9월 중하⋅순, 한지형 : 10월 상중순).

 

 

                                                      <그림 8> 총포심기 후 구비대

◦ 파종간격 : 큰 총포 : 15㎝×10㎝, 보통크기 총포 : 12㎝×10㎝
◦ 파종깊이 : 주아 일반재배와 인편 보통재배의 중간 깊이(3㎝ 정도)로 한다.
◦ 파종 노력은 줄뿌림 또는 점뿌림에 비해 총포파종은 39%, 모아심기는 44%의
생력화된(노동력이 절감된) 파종방법이며, 건조수량은 8㎡당 총포심기가 6.5
㎏으로 가장 높고, 모아심기가 5.6㎏, 줄뿌림의 순이며 총포심기가 줄뿌림보
다 18% 증수되었다. 결과적으로 생력화 및 작업의 편리성(농기계 사용 가능),
농가 기술보급성 등을 감안하면 모아심기 또는 총포심기방법이 유리하다.
(바) 비닐피복
◦ 일반 재배에 준하고, 유인은 총포에서 올라오는 여러 개체를 보통 인편재배 1주
로 간주하여 유인하면 되므로 일반 주아재배보다 유인작업을 생력화할 수 있다.

<표 5> 주아재배시 비닐멀칭 효과

 구분  초장  엽수  엽초경  추대율  구중
 무멀칭  26.4  4.8  3.3  18  2.5
 비닐멀칭  33.6  5.0  3.6  23  4.8


※ 한지형, 피복시기(2월25일∼4월30일)
비닐멀칭으로 초기생육 촉진되어 무멀칭에 비해서 구중 71% 증가됨
7월의 파종은 여름의 고온으로 파종 후 생육이 불량하며, 9월 5일, 20일 파종은 월동전 출현으로
유식물의 상태로 월동하여 동해 받음
8월 중순 조기파종으로 월동전 충분한 생육시키거나, 10월이후에 파종하여 월동 후 출현되어 생
육시키는 것이 좋다.

◦ 흑색비닐 피복구는 지온의 영향으로 출현율이 20%로 가장 낮으며, 건조수
량은 4월하순 비닐제거구에서 6.1㎏/8㎡으로 가장 높고 관행 피복구, 조기
피복구, 흑색피복구 순으로 나타나 흑색비닐 피복은 제초노력 절감효과 이
외에는 부적당하며, 관수시설이 완비된 곳에서는 4월 하순에 비닐을 제거
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 관수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은 포장은 비닐 조기제거시 가뭄의 영향으로 수
량 감수가 우려되므로 4월 하순경에 비닐위에 흙을 2㎝정도 덮어주는 것이
유리하다(관리기 이용시는 3월 하순부터 가능).

<표 6> 비닐피복 재료 및 시기에 따른 비교(의성)

  구분  피복관행  4월하순제거  10월하순피복  흑색비닐
  출현율  78  75  67  20
  초장  42.8  43.3  44.2  41.6
  엽수  3.8  3.7  3.8  3.8
  수량  건조중  5.2  6.1  4.8  2.7
 수량지수  100  117  92  52
    개체수  계  1,446  1,665  1,442  1,219
 통마늘  1,290  1446  1,257  1,146
 인편분화  156  219  185  73
 인편분화율  11  13  13  6

※ 출현율 3월 18일, 초장 5월 9일 조사. 4월 하순 제거구는 4월 30일 비닐제거, 수확일 6월 13일(건
조중 9월 10일 조사), 흑색 비닐구는 관행구와 동일시기

(사) 포장관리
◦ 파종 후 비가 오지 않을 경우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충분히 관수하여 적
습을 유지하여야만 발아율이 향상된다.
◦ 거름주기 : 일반재배보다 화학비료의 양을 약간 줄이고, 퇴비는 3,000㎏/10a
로 일반재배보다 많이 준다.
◦ 제초 : 잡초약제 처리는 일반 인편재배에 준하고 정밀 처리해야만 후기 제
초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아) 수 확
일반재배보다 1주일 정도 일찍 수확하여 엮거나 크기별로 선별하여 망사자루
에 넣어 종구로 보관한다.
(2) 2년차 재배
통마늘 파종 → 정상마늘수확

(가) 파 종
◦ 주아재배 2년차 종구로 사용할 때에 구중이 30g 이상 되는 우량구를 생산
하기 위해서는 2.5g 이상 되는 인편이나 통마늘을 사용하고, 2.0g 미만의
작은 인편은 종구재배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표 7, 8)
◦ 통마늘 파종구 크기별 쪽수는 통마늘 대구(大球)가 7.4쪽으로 가장 많고,
작은 통마늘일수록 생산된 쪽수가 적다. 생육초기 육안으로 식별한 바이러
스 감염정도는 통마늘 파종구는 소구에서 일부 나타났으나 평균 6%정도로
적었고, 대비구는 평균 42%정도로 감염정도가 높다. 수량지수는 통마늘 대
구(大球)가 대비구에 비해 134%의 증수율을 보였고, 소구(小球)도 48% 증
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마늘 소구에서 생산된 마늘도 평균 인편무
게가 5.4g으로 우량 씨마늘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9> 통마늘 수확
◦ 당년 인편분화 파종구 중 인편의 대, 중, 소에 따른 수확률은 85% 정도로 비
슷하고, 수량은 인편분화 대구가 1,848㎏/10a으로 일반인편마늘보다 73%가
증수되고, 주아인편분화 소구도 22% 증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7).
◦ 일반재배와 같이 점파(20㎝×10㎝, 소구는 15㎝×10㎝)하되, 통마늘은 일반
일편 보다 뿌리 내리는 부위가 넓어 뿌리 내리는 힘이 강하므로 얕게 파종
하면 땅 위로 솟구치는 경우가 있고 벌마늘 발생이 많아지므로 일반인편보
다 깊은 5∼7㎝ 정도 깊이로 심는다.

 

 

 

 

 

◦ 통마늘 소구(小球)를 제외하고 모든 구에서 20×10㎝간격이 15×10㎝간격보
다 건조수량이 높다. 통마늘 구는 평균 105%, 일반구는 108%로 파종간격은
20×10㎝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나 재배목적과 종구의 크기에 따라 심는
거리와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표 8).
◦ 인편분화 소구(2.1g 파종)의 경우 생산된 마늘의 평균구중이 34.6g이고 인
편 1개당 평균 5.6g으로 우량종구로 활용이 가능하다. 주아재배 1차년도 인
편분화(분구) 마늘은 씨마늘로 사용할 때 평균쪽수가 3.8∼4.2개 정도여서
통마늘보다 단기간 내에 4배 정도의 종구 증식효과가 있어 우량한 주아생
산기술 및 기타 재배관리를 개선하면 주아재배 1차년도에 대량으로 인편분
화 마늘을 생산하여 주아이용 우량종구 생산을 1년 앞당겨 대량증식도 가능
하다(표 9).

 


 

 

 

 

◦ 주아재배로 생산된 통마늘 및 분구된 마늘 2년차 생육은 수확주율은 통마늘
구가 주아 1년차 인편분화구보다 5∼6% 정도 높았고, 기타 생육상황은 비
슷하며, 10a당 수량은 통마늘구가 분구된 마늘 파종구보다 5%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5%의 증수는 시험구 파종시 통마늘구가 평균 3% 정도
무거웠음을 감안할 때 통마늘과 당년 분구된 마늘의 인편 동일무게 파종시
증체율 및 수량성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주아재배시 통마늘 및 인편분화 마늘 생산에 구애됨이 없이 우량종
구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표 9, 10).

 

(다) 포장관리
◦ 거름주기는 일반재배와 같은 표준량을 준다.
(N-P-K-석회=25-7.7-12.8-150㎏/10a)
◦ 일반재배보다 생육이 왕성하여 수확시기가 약간 늦으므로 후작 선택시에
유의하되, 특히 한지형의 경우 장마철과 수확기가 비슷하여 미숙된 구를 수
확할 경우 구의 크기는 크지만 저장력이 약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 수확시기를 앞당기고 저장력을 높이기 위하여 칼리비료(가급적 황산칼리)
를 알맞게 주고, 종대를 수확기까지 두어 주아를 생산하면 어느 정도 문제
를 해결할 수 있다.
나. 모아심기
총포심기와 점뿌림 및 흩뿌림⋅줄뿌림 재배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아 채취, 보관, 파종전처리, 침종, 소독 등은 총포심
기에 준한다.
(1) 주아 선별
◦ 1총포당 주아수는 한지형의 경우 12∼15개 정도이며, 주아의 크기는 0.05∼
0.6g정도로 매우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데, 평균 주아 무게는 0.2g정도이고,
난지형의 경우 주아수가 더 많으며 주아 무게도 무겁다. 그러나 무병종구의
경우에는 이병종구에 비해 주아가 월등히 커서 0.1∼1.0g이 되며, 평균 주아
무게는 0.4g 정도이다.

<표 11> 무병종구 주아의 성능(수원)

 주아중  분포비율  수확주율  구중  인편수  추대율  주아수  총개체수
 0.8~1.0  6  83  15.5  5.8  72  9.8  15.6
 0.6~0.8  11  75  11.2  5.2  42  8.6  13.8
 0.4~0.6  24  69  9.8  4.8  24  6.2  11.0
 0.2~0.4  43  62  5.4  2.7  7  2.0  4.7
 0.1~0.2  16  36  2.3  1.0  0  0  1.0
 평균    62  7.9  3.7  21  1.5  5.2

 

 

 

<그림 13> 주아 크기별 선별

◦ 대체로 큰 주아를 파종하면 정상적으로 추대하고 인편이 분화되는 분구마
늘을 생산할 수 있으나 작은 주아의 경우에는 대부분 통마늘로 된다. 따라
서 선별을 하지 않고 주아를 섞어서 파종하게 되면 재배 관리 및 수확 할
때 여러 가지 불편이 따르므로 반드시 크기별로 선별하여 재배하는 것이 효
과적이다. 주아 1년차 재배시의 수확효율은 평균 62%로 주아가 클수록 높다.
◦ 0.4g이상의 주아는 대부분 인편이 분화되어 5∼6개의 인편이 생기며, 0.2∼
0.4g 주아는 30%가 통마늘, 70%가 분구로 되어 2∼3쪽이 분화되나 0.2g이
하의 주아는 거의가 통마늘로 된다. 또한 0.4g 이상의 주아는 추대되어 상
당수의 주아를 재생산할 수 있어 증식에 이용할 수 있다.
◦ 주아는 인편과 달라서 크기가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냥 섞어서 파종하
게 되면 발아 및 생육이 고르지 못하여 재배관리에 어려움이 따를 뿐 아니
라 좋은 품질의 씨마늘을 생산할 수 없다.
◦ 따라서 주아는 반드시 선별하여 파종해야 하는데 보통 주아의 경우 편의상
대 (0.4g 이상), 중(0.2∼0.4g ; 콩나물콩∼메주콩 크기), 소(0.2g 미만)으
로 구분하여 재배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파종하기에 적당한 크기는 중 정도
이상이 좋고, 0.05g 미만의 주아는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파 종
총포에서 분리한 주아를 1구에 4∼12개(한지형 8∼12개, 난지형 : 0.4g 이상 4∼
6개, 0.4g 미만 6∼12개) 정도를 모아서 일반인편 1개에 준하여 파종하며, 파종
간격은 대립은 15㎝×10㎝, 중⋅소립은 12㎝×10㎝로 하고, 2㎝ 깊이로 심는다.


(3) 포장 관리
비닐피복, 시비, 싹 유인작업, 수확 등은 총포심기에 준한다.

다. 일반 주아 재배법(점뿌림, 줄뿌림, 흩어뿌림)
◦ 점뿌림, 줄뿌림, 흩어뿌림 등이 있으며, 씨마늘 생산량이 적고 유인작업에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므로 관수시설이 잘되어 있거나 봄에 비닐을 제거할
수 있는 곳에서만 사용한다.
◦ 선별된 주아는 크기별로 충분한 재식거리를 확보해야 정상적인 생육을 할
수 있는데 굵은 것은 점뿌림하고 잔 것은 줄뿌림 또는 흩어뿌림 한다. 심는
깊이는 2㎝ 정도로 얕게 하고 재식거리는 점뿌림의 경우 주아 크기에 따라
5∼10㎝ 간격으로 한다.
◦ 파종시기 : 총포심기에 준한다(일반재배보다 7∼10일 일찍 파종).
◦ 비닐멀칭 : 일반재배에 준하되 점뿌림한 것은 구멍을 뚫어 유인하고 흩뿌림
이나 줄뿌림한 것 중 한지형 마늘은 씨뿌림골의 비닐을 찢어주거나, 스프링
클러를 이용하여 수시 관수할 수 있는 곳은 비닐을 제거하고, 난지형 마늘
은 비닐 대신 짚을 덮어 준다.

 

오작교마늘 구매는 아래그림을 크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