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 어떤 씨마늘을 고르고, 또 어떻게 심을까...?
마늘 재배의 시작은 건강한 씨마늘 고르기로 시작된다. 재배 지역에 적합한 품
종의 마늘 중에서 외관이 깨끗하고, 상처가 없는 것을 골라 소독액 처리 후 파종
하는데, 줄 사이는 20cm, 포기사이는 10cm가 좋다. 밭자리는 파종 열흘 전쯤 퇴
비와 석회를 넣어 만들고, 파종 1∼2일 전에 제초제와 화학비료를 넣고 이랑을
만든다. 논재배의 경우 두둑을 높여 물빠짐이 좋게 한다. 이번 차시에서는 마늘
재배의 기초가 되는 씨마늘 선택과 파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씨마늘 준비
(1) 씨마늘 고르기
(가) 지역과 기후조건
마늘은 오랜 기간 동안 영양번식을 거쳐 그 지역의 환경과 풍토에 적응하여 하
나의 품종으로 성립되어 왔으므로 품종을 고를 때는 가급적 그 지방의 환경조건
에 맞추어 우량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지형마늘을 난지에서 재배하면
저온요구도가 충족치 못하여 구비대가 불량해지고 수량이 크게 떨어진다. 난지형
마늘을 한지에서 재배하면 겨울동안 동해를 받아 출현율이 낮을 뿐 아니라 월동
후 생육이 지연되어 수량이 감소된다.
또한, 비슷한 생태형 마늘의 재배지역이라도 기후조건이 아주 다른 곳의 마늘
을 가져와 심게 되면 생리장해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마늘을 바꾸고자 할 때
는 인근지방의 우수한 씨마늘을 구입한다.
(나) 건전한 씨마늘
마늘은 인편 번식을 하므로 전년도 포장에서 감염되었던 병해충 등이 다음대
로 전염된다. 대개 녹병과 곰팡이에 의한 부패병, 그리고 선충이나 응애가 전염
되므로 인편의 외관 및 뿌리 부분이 건전한 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처
부위를 통하여 병균이 침투해 썩게 되므로 상처유무를 확인하며 마늘이 말라서
수축되어 있거나 뿌리를 손으로 잡아 당겨서 떨어지면 종구로써 충실하지 못한
것이다.
(다) 양질의 씨마늘
<그림 1> 마늘쪽을 2개이상 파종시 생긴 기형마늘
마늘의 수량은 파종한 씨마늘 크기와 거의 정비례하므로 한지형 마늘은 4∼
5g, 난지형 마늘은 5∼7g이 적당하며 너무 크면 벌마늘이 되기 쉽다. 따라서 지
나치게 큰 마늘은 상품으로 파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다. 파종 전에 쪽을 하나 하
나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파종할 때는<그림 1>과 같이 기형마늘이 많이 생기므로
쪽을 완전히 분리하여 파종한다.
(2) 씨마늘 소요량
씨마늘 소요량은 품종, 재배지 및 재식거리에 따라서 다르나, 보통재배인 경우
10a당 210∼260kg(55∼75접)정도 필요하므로 파종면적에 맞도록 사전에 준비하
여야 한다. 국내종 중에서 서산, 단양, 삼척 등지의 한지형 마늘은 쪽수가 6∼8개
정도이며, 평균 인편중도 난지형 마늘에 비하여 무겁고 제주, 남해 등지의 난지
형 마늘은 쪽수가 10개 이상으로 평균 인편중이 가볍다. 난지형 재배지대는 재배
작형도 풋마늘용의 밀식재배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같은 점을 고려하여 종
구 소요량을 확보하여야 한다.
<표 1> 인편의 크기와 수량 및 벌마늘(2차생장)과의 관계
인편의 크기 | 구의 인편수 | 구중 | 2차샹장(벌마늘) |
4.5 | 3.1 | 27.7 | 3.3 |
7.5 | 4.0 | 37.8 | 6.7 |
10.8 | 4.4 | 49.6 | 40.6 |
13.9 | 4.9 | 56.6 | 38.1 |
18.3 | 5.6 | 63.8 | 48.9 |
<표 2> 씨마늘 소요량
구분 | 한지형 | 난지형 | ||
보통재배 | 밀식재배 | 잎마늘 | 보통재배 | |
심는 거리(Cm) | 20 * 10 | 15 * 10 | 15 * 10 | 20 * 10 |
씨마늘 소요량(접) | 70 ~ 80 | 80 ~ 90 | 80 ~ 90 | 60 ~70 |
(3) 씨마늘 소독
마늘에서 발생되는 잎마름병, 흑색썩음균핵병, 선충, 응애 등은 종구를 통해서
도 감염되므로 건전한 씨마늘이라 하더라도 반드시 소독하는 것이 좋다. 소독방
법은 파종 1일전 종구를 양파자루에 넣어 벤레이트티 500배액+디메토유제(로고,
록숀) 1000배액을 혼합하여 1시간 침지후 그늘에 말린후 파종한다. 소독할 씨마
늘이 많을 경우는 2∼3일전에 미리 소독⋅건조한 후 파종하여도 된다.
물 20 리터 + 베너람 40g + 디메토 20mL 에 침지한 후 30분~60분 후에 꺼네서
음지에서 건조 후 파종 한다.
2. 파 종
(1) 본포 준비
마늘의 뿌리는 곧고 깊게 자라므로 파종 1∼2주일전에 퇴비와 석회를 포장 전
면에 골고루 뿌린 다음 깊게 간다. 파종 1∼2일전에 화학비료 및 토양살충제를
고루 뿌리고 골 작업을 한다. 이때 피복용 비닐규격이나 최근에 많이 보급된 트
렉터 부착용 수확기를 이용할 때에는 규격에 따라 이랑너비를 120∼140cm로 결
정한다. 배수가 불량한 논의 경우 이랑은 다소 높게 하고 배수로를 설치하여 습
해를 방지한다. <그림 3>의 (가)와 (나)는 난지형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파종하는
형태이며, (다)와 (라)는 한지형 지역에서 관리기나 소를 이용하여 골을 만든 후
파종하는 형태이다.
(2) 파종시기
파종시기는 재배품종 및 재배형태에 따라 다르나 보통재배를 하는 경우 난지
형 품종을 재배하는 남부해안 및 도서지방에서는 8월 하순경부터 파종하고, 한지
형품종인 중만생종을 재배하는 중부 내륙 지방에서는 10월 상순경부터 파종한다.
너무 일찍 파종하면 고온기에 부패 등으로 오히려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파종
기가 늦으면 기온이 낮아 뿌리내림이 나빠 건조 및 추위에 피해를 입기 쉬워 월
동 후 초기 생육이 불량하여 감수의 원인이 된다. 논 재배를 하는 곳에서는 벼를
수확하고 난 다음에 마늘을 파종하여야 하므로 파종기가 늦지 않도록 각별히 주
의해야 한다.
파종기는 각 지방의 기상조건과 품종에 따라 다르다. 남해연안 이남의 지방에
서는 9∼10월에 파종되고 있는데, 이들 지방에서 재배되는 마늘은 수확기가 빠르
고 휴면도 빨리 끝나므로 발근과 발아가 빠르다. 그러나, 파종기가 빠르면 2차생
장의 원인이 되고, 또 고온시기이므로 바이러스의 피해가 많아진다. 내륙 및 고
위도 지방에서 재배되는 마늘은 10월 중∼하순이 적기이며, 논 재배지역에서는
일찍 심는 것이 좋다. 파종시기에 따라 수량과의 관계를 진주지방의 시험성적에
서 보면 9월 하순에 심는 것이 가장 많고, 결빙기인 12월에 심는 것이 적었다.
최근에 중부지방에 마늘 후작물의 수확이 늦어짐으로 12월 상순에 파종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지형은 늦어도 11월 중순까지는 파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3> 마늘의 파종시기별 지하부 생육
파종기 | 조사개수 | 추대수 | 열구개수 | 총무개 | 구무개 | 구당인편수 |
9월 20일 | 40 | 40 | 16 | 6.805 | 2.158 | 10.3 |
10월 20일 | 40 | 40 | 20 | 6.292 | 1.930 | 9.9 |
11월 20일 | 40 | 37 | 21 | 6.165 | 1.605 | 9.4 |
12월 20일 | 40 | 39 | 6 | 5.020 | 1.440 | 9.8 |
2월 20일 | 40 | 39 | 20 | 5.475 | 1.530 | 9.1 |
3월 20일 | 40 | 32 | 10 | 4.090 | 1.205 | 6.8 |
4월 20일 | 40 | 0 | 1 | 1.895 | 472 | 3.1 |
시험장소 : 진주,품종 : 진주지방 재래종
<표 4> 마늘 파종시기별 생육 및 수량
파종기 | 초장 | 엽초경 | 2차생장율 | 건구수 | 수량 | 지스 |
10월25일 | 71 | 9 | 11 | 23 | 676 | 100 |
11월5일 | 70 | 9 | 11 | 24 | 665 | 98 |
11월15일 | 69 | 9 | 11 | 24 | 667 | 98 |
11월25일 | 64 | 9 | 11 | 23 | 604 | 89 |
12월5일 | 63 | 8 | 8 | 19 | 464 | 69 |
3월20일 | 62 | 7 | 3 | 16 | 365 | 54 |
시험장소 : 단양 품종 : 단양 재래종
(3) 심는 거리
마늘의 줄기는 곧게 자라므로 밀식에 견디는 힘이 강하다. 베게 심을수록 단위
면적당 수량은 증가하나, 마늘통이 작아져 상품가치는 떨어진다. 마늘의 심는 거
리는 줄사이 20cm(잎마늘 15cm), 포기사이 10cm가 알맞으며, 120cm이랑에 골
폭을 30cm로 하면 10a당 40,000개의 마늘쪽, 40cm인 경우는 37,500개의 마늘
쪽을 파종할 수 있다.
현재 (표 35)에서와 같이 주산단지마다 심는 거리가 다르므로 앞으로 기계수확
을 위해서는 심는 거리를 120∼140cm×7∼15cm 정도로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그림 4> 마늘 심는 말도와 수량
<그림 5> 마늘 심는 거리와 마늘의 평균수량과의 관계
(4) 파종방법
파종량과 심을 거리가 준비되면 인편의 발근부는 밑으로, 발아부는 위로 심는
것이 중요한데, 이때 특히 발근부가 상하지 않도록 가볍게 심어야 한다. 발아부
96 농촌진흥청 사이버 농업기술 교육 마늘
가 옆으로 비스듬하다든지 밑으로 향한다든지 하면 발아가 늦어질 뿐 아니라 수
확한 구의 모양이 좋지 않다.
바르게 심었을 때 옆으로 심었을 때 꺼꾸러 심었을 때
심는 깊이는 마늘 인편(쪽)길이의 2∼3배 정도 또는 5∼7cm가량 복토하는 것
이 알맞다. 이보다 더 깊이 복토하면 통이 작아지기 쉽고, 얕게 심으면 겨울동안
의 동해와 벌마늘이 많아진다. 중북부의 지방에서 비닐을 피복하지 않을 경우에
는 볏짚, 낙엽, 두엄 등으로 덮어주는 것이 좋다.
마늘의 구(球)는 지하에 착생되므로 너무 깊이 심거나 얕게 심으면 좋지 않다.
즉 발근부위가 지하 5cm 정도에 위치하도록 심어야 하는데 옆으로 비스듬히 심
거나 거꾸로 심으면 구의 모양이 비틀어져 상품가치가 떨어진다(그림 18).
너무 깊게 심으면 싹이 늦게 나오고 또 너무 얕게 심으면 월동시 인편이 땅위
로 솟아 한해 및 동해를 입기 쉬울 뿐더러 생육중의 제초작업 때에 뿌리나 엽초
부위가 상할 경우가 많다.
오작교마늘구매는 아래그림을크릭하세요
'오작교마늘고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작교마늘 주아 재배 기술 (0) | 2013.06.09 |
---|---|
오작교마늘 재배관리 - 2 (0) | 2013.06.09 |
오작교마늘의 품종 및 재배 작형 (0) | 2013.06.08 |
오작교 마늘의 특성 및 재배환경 (0) | 2013.06.05 |
오작교 마늘 오늘 마늘쫑 뽑았어요 (0) | 201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