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경남 도지사님, 안녕하세요? [한겨레] 홍준표 경남 도지사님, 안녕하세요? 저는 경남 마산의 태봉고등학교 1학년 이현진이라고 합니다. 지사님께서 무상급식을 폐지하신 후부터 저희들은 꽃피는 봄을 마냥 즐길 수만은 없는 처지가 되었습니다. 어떤 부모님들은 단식을 시작하셨습니다. 부모님과 선생님, 친구들의 .. 문재인대통령 2015.04.01
이완구 - 다음은 해당 녹음파일을 새정치연합이 정리해 배포한 녹취록 ■이완구 총장 및 교수 관련 부분 나도 대변인하면서 지금까지 산전수전 다 겪고 살았지만 지금도 너희 선배들 나하고 진짜 형제처럼 산다. 언론인들, 내가 대학 총장도 만들어주고 나, 언론인…지금 이래 살아요. 40년 된 인연으로 이렇게 삽니다. 언론인 대 공직자의 관계가 아니라 서로.. 문재인대통령 2015.02.10
다음은 문재인 새정치연합 신임대표 수락연설 전문 <다음은 문재인 새정치연합 신임대표 수락연설 전문> 고맙습니다. 당원·대의원동지여러분 국민여러분 정말 고맙습니다. 우리당의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총선승리의 깃발이 올랐습니다. 동지여러분 변화를 선택해주셨습니다. 저는 그 무거운 명령을 수행하겠습니다. 이 순간부터.. 문재인대통령 2015.02.08
<영화인 1123인 선언 글> <영화인 1123인 선언 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후 168일이 된 지난 9월 30일 여야는 '양당 합의하에 4명의 특검후보군을 특검후보추천위원회에 제시한다. 특검후보군 선정에 있어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할 수 없는 후보군은 배제한다'는 내용의 합의문을 유가족들을 배제한 채 발표했다... 문재인대통령 2014.10.02
법치주의는 죽었다 <법치주의는 죽었다> 수원지법 성남지원 부장판사 김동진 판사와 검사의 책무는 법치주의를 수호하는 것이다. 선거에 의하여 다수의 지지를 얻은 정권은 때때로 힘에 의한 ‘패도정치(覇道政治)’를 추구한다. 소수의 권력자들이 국가의 핵심기능을 좌지우지하고, 법에 의한 통치가.. 문재인대통령 2014.09.27
문재인 세월호 -4 ‘안전사회’ 가시적 실천이 필요합니다. 박 대통령은 담화문을 발표하자마자 UAE에 수출한 원자로 설치 행사 참석을 위해 출국했습니다.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안전사회’로 가겠다는 의지가 진정으로 있는 것인지 심각한 의문을 갖게 됩니다. 안전 전문가들은 .. 문재인대통령 2014.05.20
문재인 세월호 - 3 ‘우현’으로만 기울어온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더불어 사는 공동체로서의 ‘평형’도 상실되고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과거와 현재의 잘못된 것들과 비정상을 바로 잡는 데 명운을 건다”고 했습니다. 무엇이 정상이고 무엇이 비정상입니.. 문재인대통령 2014.05.20
문제인 세월호 - 2 대통령 스스로가 바뀌어야 합니다. 대통령의 담화가 그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오히려 실망만을 안겨주었습니다. 표피적인 대책뿐이었습니다. 희생양으로 삼은 표적에 대한 호통과 징벌만 있었습니다. 비극적 참사에 대한 근원적 성찰은 그 어디에도 없었습니다. 앞뒤.. 문재인대통령 2014.05.20
문제인 세월호 - 1 국정철학과 국정기조의 근본을 바꿔야 합니다. 국가란 도대체 무엇입니까? 왜 존재하는 것입니까?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들이 거듭해서 묻는 질문입니다. 어제 대통령의 담화에서는 그 답을 찾을 수 없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다시 묻습니다. 국가는 왜 존재하는 것입니까? 국가와 정.. 문재인대통령 2014.05.20
국정원 사과문 다음은 '국정원 발표문' 전문. "먼저 국정원은 최근 간첩사건 증거조작 의혹과 관련해 세간에 물의를 야기하고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것에 대해 진심으로 송구스럽습니다. 이 사건은 국정원이 2012년 10월 탈북자로 위장 입국한 화교 유가려(유우성의 여동생)를 통해 친오빠 유우성이 북 .. 문재인대통령 2014.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