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교중계포커스

EM 으로 천연비누 만들기

오작교농장 2011. 3. 21. 22:13

 

비누 이야기

기원전 3000년 전 고대 로마인들이 사포(Sapo) 언덕에서 양을 구워 신에게 제물로 바치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 때 생긴 기름이 타고 남은 나무재와 섞여 굳은 것이 비누의 시초입니다.

이 “Sapo”가 지금의 “Soap"의 어원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사람들은 올리브유, 콩기름 같은 식물성 기름이나 동물성 지방에 가성소다를 섞어 비누를 만들어 사용해 왔습니다.

이처럼 천연유지를 원료로 한 비누는 화학물질을 전혀 포함하지 않고 물에 녹으면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어 없어짐으로써 자연과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게 됩니다.

2차대전을 겪으며 비누를 만들 천연유지를 구하지 못한 독일군에 의해 석유에서 추출한 화학물질을 원료로 세제를 만들어 쓰기 시작한 것이 합성세제의 기원입니다.
오늘 아침에도 우리는 잠자리에서 일어나 치약으로 칫솔질하고, 샴푸와 린스를 이용하고, 주방용 세제로 설거지하고, 세탁기용 세제로 빨래를 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세제에는 때를 제거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성분이 들어 있으며, 떨어진 때가 다시 달라붙지 않도록 넣는 제올라이트 이외에도 습기에 덩어리지지 않도록 넣는 황산나트륨, 세탁 후 희게 만들기 위한 형광염료 등 10여 가지의 각종 화학물질이 가득 들어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향긋한 인공향이 쉽게 날아가버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첨가제도 넣습니다.
그런데 이처럼 세제를 사용하고 흘려보낸 물이 생태계를 돌고돌아 다시 우리 곁으로 돌아온다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
세제를 사용한 물이 하천이나 바다에 흘러 들어가면 물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공기와 햇빛을 막아 버립니다.

산소를 공급받지 못한 물은 자정능력이 떨어져 썩게 되며, 세제 성분이 물 속에 사는 조류에 비료 역할을 함으로써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등 수중 생태계를 더욱 악화시킵니다.
하수종말처리장의 정수과정을 거치면서도 제대로 분해되지 못한 세제 성분은 하천과 바다로 흘러 들어가 물고기 등 수중생물에 축적됩니다.

물고기나 수초 등은 우리의 식탁에 다시 올라오거나 세제 성분이 다 분해되지 못한 채로 다시 우리집 수도꼭지로 공급됩니다.
식기나 세탁물에 남은 세제 성분이 우리 몸에 흡수될 경우 간 기능을 저하시키고, 주부습진 등의 피부염을 일으키며 탈모를 촉진시키기도 합니다.

동물 실험 결과 폴리염화비페닐과 복합오염을 일으킬 때는 정자 파괴, 생식기능 저하, 기형아 출산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지기도 했습니다.
또한 합성세제는 카드뮴, 유기수은 같은 중금속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며 농약이나 식품첨가물과 함께 몸 속에 들어가면 화학물질의 독성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합성세제만 문제가 많고 비누는 괜찮은 걸까요?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비누들의 실체를 살펴보면 사실은 화학물질의 덩어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질의 동물성 지방을 원료로 쓰는 것까지는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계면활성제, 응고제, 경화제, 유화제, 방부제 등 각종 석유화학 계통의 화학물질들이 비누 속에 듬뿍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자, 그럼 이처럼 합성세제나 일반비누 대신에 버려지는 폐식용유를 활용하여 우리 손으로 직접 EM 비누를 만들어 쓰면 어떨까요?


① 뛰어난 보습력
지방산과 알칼리를 반응시키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글리세린이 생겨나는데, 이 글리세린은 보습력이 뛰어납니다.

그런데 화학비누를 생산하는 과정에서는 점성이 높은 글리세린이 대량 생산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염석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글리세린을 분리시킵니다(이때 분리된 글리세린은 화장품 등의 원료로 쓰입니다).

이에 반해 천연비누는 글리세린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으므로 보습력이 뛰어납니다.

② 무자극성
일반 비누에 들어 있는 각종 화학물질들은 우리가 비누를 쓸 때마다 피부를 공격하고 피부를 상하게 합니다.

그러나 직접 만든 비누는 천연재료만을 원료로 하여 화학물질을 넣지 않고 만들어지므로 피부에 전혀 자극을 주지 않습니다.

③ 정서 함양에 기여
직접 만들어 쓰는 천연비누는 그 자체로도 여가 선용에 좋은 취미생활이 되며, 친지나 가까운 이웃에게 선물하기에 좋은 아이템입니다.

천연비누를 만들어 가족의 건강도 지키고 주위의 사랑도 받게 된다면 그 만족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것입니다.

④ 환경 친화
천연비누는 화학물질을 전혀 포함하지 않습니다. 물에 녹으면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어 없어지기 때문에 환경을 전혀 오염시키지 않습니다.


- 준비물 : 쌀뜨물 발효액(1ℓ), NaOH(500g), 폐유(3.3ℓ), 우유팩(1ℓ, 5개), 거품기, 장갑, 큰 철용기(bowl)
① 고무나 플라스틱 용기에 쌀뜨물 발효액 1ℓ 에 NaOH(가성소다) 500g을 넣습니다.
※ 주의
- NaOH는 독극물이므로 장갑, 마스크를 꼭 착용하세요!
- 가성소다에 EM 쌀뜨물발효액을 부으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쌀뜨물발효액에 가성소다를 넣어 주세요.

② ①에 폐유 3.3ℓ를 넣고 거품기를 이용하여 한쪽 방향으로 점성이 생길 때까지 젓습니다.

③ ②의 것을 우유팩(비누틀)에 덜어 담습니다.

④ 비누가 말랑말랑한 정도로 말랐을 때(상온에서 6시간~4일 정도) 우유팩에서 꺼내어 칼을 이용해 사용하기 편한 크기로 자릅니다.

⑤ 바로 사용하지 말고 한 달 정도 더 건조시킵니다.
※ 위험물인 NaOH를 충분한 건조를 통해 휘발시키려는 것입니다.

'오작교중계포커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속에 각종 혜택받는 농지원부  (0) 2011.03.27
EM 굼굼증  (0) 2011.03.21
EM 쌀뜸물 발효액 만들기  (0) 2011.03.21
EM 의 쓰임새  (0) 2011.03.21
유용한 미생물 이엠  (0) 2011.03.20